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기준 | 2026년 이후 달라지는 기준
상장폐지(영어: Delisting)란, 상장 된 회사의 주식이 증권거래소 주식이 더 이상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도록 자격이 취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회사가 유가증권으로서의 적격성을 상실하거나 규정을 위반했을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상장폐지 사유로는 재무 상태 불안정, 지속적인 적자, 상장규정 미준수, 법적 문제 등이 포함됩니다.
가치 투자자라면 휴지 조각이 될 수 있는 주식은 피해서 일어나지 않아도 되는 손실을 회피해야 합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보통 상장폐지가 진행되기 전 관리종목 지정이 먼저 이루어집니다. 관리종목 지정은 회사가 상장 유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심각한 재무적 문제를 겪을 경우, 해당 기업에 대해 증권거래소가 주의를 주기 위한 일종의 경고 조치입니다.
관리종목(Delisted Stock, Managed Stock)으로 지정된 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개선 기회를 주며, 개선되지 않으면 상장폐지 절차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상장폐지는 관리종목 지정 후, 회사가 개선되지 않거나 지정된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 진행됩니다. 이 과정은 투자자들에게는 중요한 경고 신호가 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회사의 재무 상태나 경영 상황을 확인해야 합니다.
✅ 코스피 시장 관리종목 지정 사유 및 상장폐지 지정 조건
구분 1871_4936fb-0f> |
코스피 관리종목 지정 1871_d1a431-b9> |
상장폐지 사유 1871_7becd4-bb> |
---|---|---|
사업보고서 미제출 1871_b4cb9c-fc> | 1871_97c554-54> | 1871_790028-1d> |
감사의견 1871_bfa4e2-aa> | 1871_84b9c9-b9> | 1871_6e86ce-dd> |
지배구조 | 1871_0b7aa5-04> | 1871_4db412-c8> |
공시의무 위반 1871_83cab4-f6> | 1871_cadcdc-4f> | 1871_d256bd-4b> |
자본잠식 1871_6eca2d-d1> | 1871_e0622c-98> | 1871_45f900-a6> |
회생절차 | 1871_abaac7-f4> | 1871_85bc0c-7e> |
장기 영업 손실 1871_d9c3b6-5b> | 1871_c3a589-fe> | 1871_bd9255-06> |
주식 분포 현황 | 1871_bca3f1-c7> | 1871_744bf3-84> |
주가/ | 1871_1cff24-ce> | 1871_55d2fd-97> |
✅ 코스닥시장 관리종목 지정 사 상장폐지 지정 조건
구분 1871_61bf74-74> |
코스닥 관리종목 지정 1871_86b9be-ba> |
상장폐지 사유 1871_50ebd4-69> |
---|---|---|
사업보고서 및반기보고서 1871_725a4d-db> | 1871_076906-22> | 1871_4090d2-70> |
감사의견 1871_a81f04-d8> | 1871_484575-b8> | 1871_d9bb4b-02> |
지배구조 | 1871_406280-9f> | 1871_2dfd04-83> |
시가총액 1871_cf7418-1c> | 1871_8435c4-73> | 1871_1a9077-62> |
거래량 1871_c853df-da> | 1871_63a2cb-0f> | 1871_ee433e-7f> |
주식분포현황 1871_4959bd-69> | 1871_407ab4-76> | 1871_a03d42-50> |
매출액 1871_a65d46-3c> | 1871_faa6e5-e8> | 1871_08aab5-b3> |
장기영업손실 1871_6c0385-cd> | 1871_f46ce5-79> | 1871_71f361-39>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1871_c2be8b-09> | 1871_be08c1-fe> | 1871_d2cdb6-20> |
자본잠식 1871_bd12b0-03> | 1871_18da99-8c> | 1871_a41d3c-b9> |
회생절차 | 1871_c0d156-ae> | 1871_8934fb-b7> |
✅ 관리종목 요건 단계 별 강화 방안
한국 정부는 2026년부터 관리종목 요건 중 시가총액과 매출액 기준을 강화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기준이 지나치게 낮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시가총액은 주가와 발행 주식 수를 곱한 값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지난 10년 동안 시가총액과 매출액 기준으로 상장폐지된 기업은 없었습니다.
구분 | 코스피 | 코스닥 | ||
시가총액 | 매출액 | 시가총액 | 매출액 | |
현재 | 50억원 | 50억원 | 40억원 | 30억원 |
2026.1.1~ | 200억원 | 50억원 | 150억원 | 30억원 |
2027.1.1~ | 300억원 | 100억원 | 200억원 | 50억원 |
2028.1.1~ | 500억원 | 200억원 | 300억원 | 75억원 |
2029.1.1~ | 500억원 | 300억원 | 300억원 | 100억원 |
✅ 상장폐지 기한 단축
상장폐지 기한을 받게 된 기업은 개선 기한을 갖게 되는데 한국 정부는 이 기한 또한 단축할 예정입니다. 2026년 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1. 코스피 심의 단계 축소 및 개선 방안
코스피 심의 단계 | 형식 (이의신청) | 실질 | |
심의단계 | 현행 | 1심 | 2심 |
개선 | 1심 | 2심 | |
개선기간 | 현행 | 최대 2년 | 최대 4년(2+2) |
개선 | 최대 1년 | 최대 2년(1+1) |
2. 코스닥 심의 단계 축소 및 개선 방안
코스닥 심의 단계 | 형식 (이의신청) | 실질 | |
심의단계 | 현행 | 1심 | 2심 |
개선 | 1심 | 2심 | |
개선기간 | 현행 | 최대 2년 | 최대 4년(2+2) |
개선 | 최대 1년 | 최대 2년(1+1) |
🔲 상장폐지 후 정리매매 주식은 어떻게 되나요?
정리매매 기간 동안에는 투자자가 주식을 매도할 수 있지만, 거래가 제한적이고 주가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정리매매가 종료되면 해당 주식은 거래소에서 완전히 사라지며, 일반 투자자는 장외에서 거래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K-OTC(제도권 장외시장)나 개별 거래(사설 장외시장, 주주 간 협의) 방식으로만 매매가 가능합니다.
✅ 관리종목 리스트 보는 방법
주식 투자 시 정상적인 영업이익을 내는 기업을 선별하기 위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주식을 먼저 배제해야 합니다.
관리 종목 현황은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스템, 전자공시시스템(DART)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보다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은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스템 2개의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한국거래소 관리종목 검색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장공시스템은 관리종목 지정 사유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