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 계정과목

대손이란 불량 채권으로 회수가 어려운 매출채권(외상매출금, 및 받을어음),미수 등을 돌려받지 못해 손해를 본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업은 거래 중에 발생한 매출채권 중 100%를 돌려 받으면 좋겠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100% 회수가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대손 된 금액을 충당하기 위해 대손충당금을 설정합니다.

충당은 모자라는 것을 메꿔 채운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손충당금은 회계적으로 예상되는 대손을 미리 비용으로 계상하여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보통 과거의 대손 발생률, 거래처의 신용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됩니다. 대손을 설정함으로써 갑작스러운 대손 발생 시 재무적 충격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대손충담금과 대손상각비 관계

재무제표에서는 손익계산서의 대손상각비재무상태표의 대손충당금 계정을 통해 반영됩니다. 대손상각비는 특정 회계 기간 동안 발생한 예상 대손금액을 비용으로 인식하는 계정과목입니다.

기업은 대손을 설정할 때, 이를 비용으로 반영하기 위해 손익계산서에서 ‘대손상각비‘항목을 사용합니다. 즉, 대손상각비는 대손충당금의 설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기업의 순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회계 기간 동안 100만 원의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설정할 경우 다음과 같이 회계 처리합니다.

  • 차변: 대손상각비 1,000,000원(비용의 발생)
  • 대변: 대손충당금 1,000,000원 (부채의 증가)
차변,대변으로 보는 거래의 8요소(lage)

✅ 대손 계정과목을 확인하는 이유

대손 계정과목을 확인하는 이유는 주로 기업의 재무 건전성, 신용 위험, 현금흐름 등을 평가하고, 회계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대손이 많으면 회수 불가능한 채권이 많다는 뜻으로 현금흐름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대손이 적으면 실제 매출이 잘 회수되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대손충당금(Bed Debt)
출처: Alpha Stock Images

✅ 재무제표에서 내역 확인

재무상태표의 매출채권에 대손충당금, 포괄손익계산서에 대손상각비에 대한 상세 내역이 나오는 경우와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재무제표 주석에서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진양산업003780의 2024년 사업보고서에서 매출채권 계정에서 대손 충당금 계정과목이 잡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출채권 중 대손충당금 계정과목(진양산업 재무상태표)
출처: 전자공시시스팀(DART)

하지만 보통 매출채권에 대손 충당금 내역을 잡아 놓은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CJ제일제당097950의 재무상태표를 확인했을 때 매출채권은 잡혀 있지만 매출채권의 상세 내역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CJ제일제당 재무상태표
출처: 전자공시시스팀(DART)

반면 포괄손익계산서에서는 대손상각비 계정과목이 확인됩니다.

CJ제일제당 재무상태표
출처: 전자공시시스팀(DART)

재무제표 주석에서 대손 충당금 환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손으로 잡아 놓았던 금액이 다시 매출로 반영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CJ제일제당 재무제표 주석 대손충당금 환입
출처: 전자공시시스팀(DART)

CJ제일제당의 매출채권의 대손 충당금 상세 내역입니다. 이 외에도 금융자산의 대손 변동 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J제일제당 재무제표 주석 매출채권 대손충당금 상세내역
출처: 전자공시시스팀(DART)

✅ 일반회계기준 및 국제회계기준 대손처리 방식

국제회계 기준이 도입되기 전에는 연채되지 않은 매출채권도 대손에 반영되었지만 국제회계기준으로 재무제표가 작성되면서 대손 처리 기준이 예상손실액에서 발생손실액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대손 기준

일반기업회계기준

국제회계기준

대손 충당금

예상손실액

발생손실액

기준

정상 매출채권도 대손 반영

실제 발생된 손실만 반영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