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본회전율 | 적정 비율&운전자본 회전일수
운전자본회전율은 기업의 순운전자본 대비 매출액 비율로, 자산 활용 효율성과 기업의 유동성 관리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재무비율 분석의 활동성 비율에 속합니다.
이 비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운전자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자본이 매출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반대로 낮을 경우 자본이 매출로 전환되는 속도가 느려 운전자본 관리가 비효율적이며, 재고나 매출채권 등이 과다하게 쌓여 자금 운용에 부담이 크다는 의미입니다.
즉, 기업의 운영 효율성과 재무 건전성이 좋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Net Working Capital Turnover 요약
· 운전자본회전율은 순운전자본 대비 매출액 비율로, 활동성 비율에 속함.
· 자산 활용 효율성과 유동성 관리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재무지표임.
· 비율이 높으면 자본이 매출로 빠르게 전환되어 운전자본 관리가 효율적임을 의미함.
· 비율이 낮으면 자본 전환 속도가 느리고, 재고 및 매출채권 과다로 자금 운용에 부담이 있음.
· 운전자본회전율은 기업의 운영 효율성과 재무 건전성 평가에 활용됨.
✅ 운전자본
기업의 운전자본은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뺀 값으로 나옵니다.
운전자본
├─ 유동자산
│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 단기금융상품
│ ├─ 매출채권(외상매출금)
│ ├─ 재고자산
│ ├─ 기타 유동자산
│ └─ ......
│
└─ 유동부채(-)
├─ 단기차입금(-)
├─ 매입채무[외상매입금](-)
├─ 미지급금(-)
├─ 기타 유동부채(-)
└─ ......(-)
예를 들어 은행에서 돈을 빌려 발생한 [단기차입금]은 현금의 증가로 이어지기 [현금 및 현금성 자산] 항목에는 플러스[+] 항목으로 반영됩니다.
따라서 운전자본 계산 시 유동자산과 유동부채가 서로 상쇄되어, 기업이 단기적으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순유동자산을 나타냅니다.
✅ 운전자본회전율이란?
운전자본회전율은 기업이 보유한 운전자본(순유동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매출로 전환 하는지를 나타내는 재무비율입니다.
매출액을 운전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며, 값이 높을수록 자본이 빠르게 회전하여 기업의 자산 운용 효율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 운전자본회전율 계산 공식
🔲 계산 예시
◻️ 삼성중공업(10140)
한국 KOSPI 상장 종목 중 삼성중공업(10140)의 2024년 사업보고서를 바탕으로 운전자본회전율을 구해 보겠습니다. 편의를 위해 각각의 금액은 반올림하여 계산합니다.
삼성중공업의 매출액은 9조 9,031억원입니다.
유동자산은 9조 3700억원이며, 유동부채는 12조 3000억원입니다.
삼성중공업 2024년 운전자본 계산
- 매출액: 9조 9,031억 원
- 유동자산: 9조 3,700억 원
- 유동부채: 12조 3,000억 원
순운전자본 계산
운전자본=유동자산−유동부채=9조3,700억−12조3,000억=−2조9,300억원
보통 운전자본이 마이너스이므로 운전자본회전율도 음수(-)가 됩니다. 이는 유동부채가 유동자산보다 많아 단기 유동성 위험이 크고, 기업이 매출을 내더라도 단기 자산만으로는 부채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제조업 특성상 선급금, 프로젝트성 계약 구조 등도 반영된 결과일 수 있으므로, 업종 특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삼성중공업처럼 운전자본이 마이너스인 기업은 드물지 않습니다. 특히 조선·플랜트·건설 업종은 선급금(계약금)을 먼저 받고,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유동부채가 유동자산보다 많은 구조가 흔합니다.
즉, 운전자본이 마이너스라고 해서 무조건 재무 위험이 있다는 뜻은 아니며, 업종 특성과 사업 구조를 함께 봐야 정확한 해석이 가능합니다.
운전자본이 마이너스일 경우, 재무 위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함께 살펴봐야 할 주요 지표는 유동비율, 당좌비율, 현금비율 등을 추가로 확인해서 기업의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씨젠(096530)
이번에는 한국 KOSDAQ 종목 중 바이오 기업인 씨젠(096530)의 운전자본회전율을 구해 보겠습니다.
씨젠의 매출액은 4,143억원이며, 유동자산은 7,500억원, 유동부채는 1,614억원입니다.
씨젠 2024년 운전자본 계산
- 매출액: 4,143억 원
- 유동자산: 7,500억 원
- 유동부채: 1,614억 원
순운전자본 계산
운전자본=유동자산−유동부채=7,500−1,614=5,886 억원
운전자본이 양수(+)이므로 유동자산이 유동부채보다 많아 재무 안정성이 높습니다.
운전자본회전율 0.70은 자본이 매출로 전환되는 속도가 다소 느릴 수 있으나, 현금흐름 중심 구조나 자산 안전성 중시 업종 특성상 일반적인 범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운전자본 회전일
씨젠의 경우 운전자본회전율이 0.70이므로, 이를 회전일수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해석
- 이는 1년(365일) 동안 운전자본이 약 521일에 한 번 매출로 회전된다는 의미입니다.
- 자본 회전 속도는 다소 느린 편이지만, 씨젠처럼 현금 보유 수준이 높고, 제품 수명주기나 생산 특성이 정밀한 의료·바이오 기업은 낮은 회전율이 반드시 비효율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즉, 운전자본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적정 운전자본회전율
운전자본회전율의 적정 수준은 기업의 업종, 사업 구조, 자산 운영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1 이상이면 매출이 운전자본보다 크다는 의미로, 운전자본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유통업, 일반 제조업, 서비스업 등에서는 1~5 사이의 회전율이 흔히 나타나는 정상 범위입니다.
반대로 1 미만이면 운전자본이 매출에 비해 과도하게 쌓여 있다는 뜻으로, 자금 운용이 비효율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조선, 건설처럼 선급금 구조가 강한 업종은 회전율이 낮아도 구조적으로 자연스러운 경우가 많으므로, 업종 평균과 비교하여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회전율 수준 4280_7094e5-9b> |
해석 4280_ea367f-a3> |
업종 예시 4280_af6a37-e8> |
---|---|---|
1 이상 4280_b7a59c-c8> |
운전자본이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음 4280_75e709-9c> |
유통업, 일반 제조업, 서비스업 등 4280_455709-c9> |
1 미만 4280_cae26d-74> |
자금이 자산에 묶여 있을 가능성 있음 4280_24e526-bf> |
조선업, 건설업 등 일부 장기계약 업종 4280_d63029-87> |
업종 평균 고려 4280_7b2964-46> |
업종 구조에 따라 낮은 회전율도 정상일 수 있음 4280_b8c4af-10> |
업종 특성에 따른 해석 필요 4280_53cda3-e0> |
결국 운전자본회전율은 단독으로 판단하기보다 업종, 현금흐름, 기타 유동성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기업의 운영 효율성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운전자본회전율이 높을때와 낮을 때
운전자본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운전자본에 비해 매출이 크고, 기업이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재고나 매출채권이 적절하게 관리되어 운전자본이 빠르게 회전하며, 운영 효율성과 유동성 관리 능력이 우수한 상태로 평가됩니다.
운전자본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자산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거나, 재고와 매출채권이 과도하게 쌓여 운전자본이 묶여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운영 효율성이 낮고, 자금 운용에 부담이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운전자본회전율 비교 요약표
구분 4280_fe51cd-9a> |
높을 때 4280_218358-60> |
낮을 때 4280_db3308-91> |
---|---|---|
매출 대비 운전자본 4280_ec9a0a-b4> |
적다 → 회전 빠름 4280_184d7f-6f> |
많다 → 회전 느림 4280_39fbe2-89> |
자산 활용 효율성 4280_e8110e-27> |
높음 4280_a2319c-6f> |
낮음 4280_7a1dee-da> |
재고·매출채권 상태 4280_45497e-6b> |
적절히 관리됨 4280_35bed8-89> |
과도하게 쌓여 있음 4280_6e7c79-85> |
유동성 관리 4280_23c03e-ff> |
우수 4280_a3ec75-ad> |
부담 있음 4280_cafee8-ac> |
경영 해석 4280_8dd573-1c> |
효율적인 자산 운용, 건전한 유동성 구조 4280_dda6f7-73> |
비효율적 자금 운용, 단기 자금 리스크 존재 가능성 4280_43575b-be> |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