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비율 분석: 5가지 항목 분류

기본적 분석의 한 축을 이루는 재무비율은, 기업의 재무제표에 기재된 항목들을 상호 비교하여 계산되는 수치입니다. 이러한 재무비율 분석은 단순한 수치 비교를 넘어서, 기업의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효율성, 시장평가 등 다양한 측면에서 경영 성과와 재무 건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투자자는 이를 통해 기업이 현재 어떤 재무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과거에 비해 성과가 향상되었는지, 경쟁사 대비 경쟁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투자 판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게 됩니다.

재무는 기업이나 개인이 자금을 관리하고 운용하는 활동입니다. 재(財)는 재물, 돈을 의미하며, 무(務)는 일, 업무, 관리 등을 의미합니다. 재무는 재물을 관리하고 운용하는 업무를 뜻 합니다.

Ⅰ. 재무비율 분석의 목적

1. 기업의 재무 건전성 평가

📌 안정성 비율

사용 지표: 유동비율, 당좌비율, 부채비율, 유보율, 이자보상비율 등
목적: 기업이 단기 채무를 얼마나 잘 감당할 수 있는지, 부채 의존도가 높은지 확인

2. 수익성 분석

📌 수익성 비율

사용 지표: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 총자산이익률, 매출총이익률 등
목적: 기업이 이익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창출하고 있는지 파악

3. 성장 가능성 파악

📌 수익성 비율 + 성장성 지표 일부

사용 지표: 주당순이익 증가율, 매출액 증가율, 자기자본이익률 추이 등
목적: 기업이 미래에도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지 판단

4. 경영 효율성 진단

📌 활동성 비율

사용 지표: 총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등
목적: 자산과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는지 평가

5. 투자 판단 근거 제공

📌 시장가치 비율

사용 지표: 주가수익비율, 주가순자산비율, 주당순이익, 주당순자산, 주가현금흐름비율, 주가매출액비율 등
목적: 투자자가 주식의 가치를 판단하고, 고평가 또는 저평가 여부를 분석하는 데 사용

6. 기간 비교 및 경쟁사 비교

📌 모든 비율 전반

목적: 동일 기업의 과거 대비 성과 비교나 동종 업계 다른 기업과의 상대적 분석을 통해 위치를 확인

Ⅱ. 주요 재무비율 5가지 분류표

5가지 항목을 분류표로 정리했으며, 재무비율 항목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벨류에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고, 자주 사용하는 평가모델 항목을 추가했습니다.

  • CAPM과 RIM은 전통적인 재무비율 분석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기업의 내재가치 평가, 즉 벨류에이션의 핵심 도구들이기 때문에 별도 항목으로 추가했습니다.

Ⅲ. 주요 재무비율 분류표

제일 많이 보는 보편적인 재무비율 분류표를 작성했습니다. 이 내용 외에도 추가로 기존의 재무비율 분석의 여러 내용을 상황에 따랄 수시로 참고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 들어 가 있는 점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수익성비율

수익성비율

계산식

비고

ROE

순이익 ÷ 자기자본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이익을 창출했는지 판단.

ROA

순이익 ÷ 총자산

총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이익을 창출했는지 판단.

2. 유동성비율

유동성비율

계산식

비고

유동비율

유동자산 / 유동부채

1년 이내 단기 자산으로 단기 부채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판단.

3. 활동성비율

활동성비율

계산식

비고

매출채권회전율

매출액 / 평균매출채권

매출채권이 현금으로 얼마나 빠르게 전환되는지 및 정상 회수 여부 체

4. 재무 건전성 비율

재무 건전성 비율

계산식

비고

차입금비율

총부채 / 총자산

총자본 중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며, 기업의 외부자본 의존도를 점검하거나 재무 건전성을 확인하는 데 활용.

부채비율

총부채 / 자기자본

자기자본 대비 부채의 비율을 나타내며, 기업의 재무 안정성과 채무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

이자보상비율

영업이익(EBIT) / 이자비용

영업이익이 이자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며, 기업의 이자 지급 여력을 확인하는 데 사용됨.

5. 시장가치비율

시장가치비율

계산식

비고

EPS

순이익 / 발행 주식 수

기업이 발행한 보통주 1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며, 수익성과 주당 가치 평가에 활용됨.

PER

주가 / 주당 순이익(EPS)

주가가 1주당 순이익(EPS)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며, 현재 주가가 이익 대비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음.

BPS

순자산 / 발행 주식 수

자기자본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주당 순자산을 뜻하며 기업의 청산가치나 주가의 내재가치 평가에 활용됨.

PBR

주가 / 주당 순자산(BPS)


주가가 주당순자산(BPS)의 몇 배인지 나타내며, 주가가 자산 대비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 확인 가능.

PCR

주가 / 주당 현금흐름(CFS)

주가가 주당현금흐름(CFPS)의 몇 배인지 보여주는 지표로, 기업의 현금 창출력 대비 주가 수준을 판단할 수 있음.

PSR

주가 / 주당 매출액

주가가 주당매출액(SPS)의 몇 배인지 나타내며, 매출 대비 주가 수준을 평가해 기업의 시장가치를 파악하는 데 활용됨.

PEGR

주가 / 주당 순이익 성장률

PER을 이익 성장률로 나눈 지표로, 기업의 성장성을 고려한 적정 주가 수준을 가늠할 수 있음.

5. 6. 평가모델

평가모델

계산식

비고

COE(CAPM)

COE = Rf + β(Rm – Rf)

자기자본비용(Cost of Equity)으로, 투자자가 기업에 요구하는 기대수익률. 보통 CAPM을 통해 산출하며, 기업 가치평가의 기준이 됨.

RIM

잔여이익 = 순이익 –
(자기자본 × COE)

잔여이익모형(Residual Income Model)으로, 회계상의 순이익에서 자기자본비용을 차감한 잔여이익을 바탕으로 기업의 내재가치를 평가함.

재무 보고서(Finance Report)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