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량적 분석Vs 정성적 분석| 계량적·정량적 비슷한 의미의 차이
*계량적(計量的)**과 **정량적(定量的)**은 비슷한 맥락에서 사용되지만, 한자어의 의미를 통해 보면 약간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알아보기 전 비슷하지만 다른 계량적·정량적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계량: 분량이나 무게를 재는 것.
1. 계량적(計量的)
- 한자 풀이:
- 計(셀 계): 수를 세거나 계산한다.
- 量(헤아릴 량): 크기나 양을 측정한다.
- 的(~적): ~의 성질이나 속성을 나타냄.
- 의미:
- 어떤 대상의 양이나 크기를 측정하고 계산하는 행위를 강조합니다.
- 수학적·통계적 방법론을 이용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는 뜻에 가깝습니다.
- 응용 예시: 계량경제학, 계량화(수치를 기반으로 구체적으로 계산함).
2. 정량적(定量的)
- 한자 풀이:
- 定(정할 정): 한정하거나 명확히 규정한다.
- 量(헤아릴 량): 크기나 양.
- 的(~적): ~의 성질이나 속성을 나타냄.
- 의미:
- 사물의 크기나 양을 수치적으로 명확히 나타내는 행위를 강조합니다.
- 단순히 수치화된 결과를 다루는 데 초점이 있습니다.
- 응용 예시: 정량 분석(수치 기반의 결과 표현), 정량적 데이터(수치로 표현된 데이터).
3. 차이점
구분 935_6ca677-cf> |
계량적 분석 935_d49149-79> |
정량적 분석 935_c35c8b-e8> |
---|---|---|
초점 935_dc5f38-07> |
측정·계산의 방법론(수학적, 통계적 기법 활용) 935_760ca4-9c> |
수치화된 데이터를 결과로 표현하는 것. 935_e30d3c-53> |
활용분야 935_9e4634-a2> |
복잡한 계산을 통해 관계나 패턴을 발견. 935_9cbbee-a2> |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설명하거나 비교. 935_b01cef-ea> |
강조 요소 935_4ee80d-05> |
과정과 기법(How) 935_624399-9e> |
결과와 데이터(What). 935_549e2d-bc> |
예시로 이해하기
- 계량적 분석:
- 데이터를 활용해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 간 관계를 계산하는 작업.
- 예: “이 변수와 저 변수의 상관관계를 수학적으로 분석했다.”
- 정량적 분석:
- 회귀분석 결과로 나온 값을 설명하거나 그래프로 표현하는 작업.
- 예: “분석 결과, 매출이 광고비에 비례하여 20% 증가했다.”
계량적은 분석 과정(방법론)에 초점이 있고, 정량적은 수치로 나타난 결과나 데이터 자체에 중점을 둡니다.
4. 정성적 분석
- 定(정할 정): 정하다, 결정하다.
- 性(성품 성): 성질, 특성.
- 的(과녁 적): ‘~적인’, ‘~의’.
사물이나 현상의 성질(특성) 을 결정하여 나누고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숫자나 수치가 아닌 질적 요소를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정성적 및 정량적 차이와 예시
정량적이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 의미하는 반면 치수나 결과 값을 숫자로 표현하기 어려운 정성적 분석은은 주관이 들어간 수치화 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의 청산 가치를 확인하는 베류에이션 중 PBR로 A,B 기업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A기업과 B기업의 PBR 비교
- A기업: 주가 50,000원, 1주당 순자산(BPS) 25,000원 → PBR = 50,000 ÷ 25,000 = 2.0
- B기업: 주가 30,000원, 1주당 순자산(BPS) 30,000원 → PBR = 30,000 ÷ 30,000 = 1.0
순자산 대비 A기업과 B기업이 얼만큼 저평가 되었는지와 두 기업을 비교해서 PBR이 1인 B 기업이 더 저평가 되었다는 수치를 나타낼 수 있어 정량적 분석을 한 것입니다.
A기업과 B기업 미래 전망
A기업:
- 혁신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 증가
- 강력한 브랜드와 충성 고객층 보유
- 향후 신사업(예: AI, 친환경 에너지) 확장이 기대됨
B기업:
- 제조업 기반으로 경쟁이 심한 시장에서 운영
- 최근 주요 고객사 이탈 및 실적 감소 우려
- 전통적인 산업 구조로 성장성이 낮음
PBR이 낮은 B기업이 단순히 저평가된 것이 아니라, 미래 성장성이 낮고 산업 경쟁이 치열한 이유 때문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A기업은 높은 브랜드 가치와 미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하여 시장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PBR이 높게 측정되었다고 생각하는 것 2가지가 정성적 분석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