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 선행지표, 동행지표, 후행지표의 의미와 종류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경우 금리와 인플레이션 및 각종 지표에 대해 하나 씩 궁금증이 생기고 공부를 시작하거나 차츰 검색을 통해 알아가게 됩니다. 그럼 주식 시장의 주식의 가격, 채권의 가격의 등락을 미리 알거나 과거를 바탕으로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견하는 경제 지표인 선행지표, 및 후행지표에 대해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먼저 선행지표는 경제 변화보다 먼저 움직이며, 미래 경기 변동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선행 지표를 활용해 경제가 침체 및 호황기로 접어들지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후행지표는 경제 변화가 이미 발생한 후에 움직이며, 경기 변동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과거의 경제 흐름을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 동행지표는 경제 변화와 거의 동시에 움직이며, 현재 경기 상황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즉, 현재 경제가 확장 국면인지, 수축 국면인지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어제의 오늘이 내일을 반영하며 과거의 결과가 오늘이며, 오늘의 행동이 미래를 나타냅니다. 과거 → 현재 → 미래의 개념은 누구나 쉽게 이해하지만 금융 시장의 투자자는 선행, 동행, 후행 지표의 개념을 새로 익혀야 할 수 있습니다. 이 지표를 표현하자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경제지표는 경제에 대한 통계를 의미합니다.
1. 후행지표 종류
구분 2229_1b456d-3d> |
설명 2229_be2555-98> |
비고 2229_af4359-c7> |
---|---|---|
실업률 2229_0c0990-d4> |
경기 악화 후 실업자가 증가하는 경향 2229_a65175-c7> |
기업이 해고를 결정하는 데 시간이 걸림 2229_505378-71> |
소비자물가지수(CPI) 2229_cf01c2-3b> |
경제 변화 이후 물가가 반영됨 2229_1a8e14-e8> |
인플레이션은 지연된 효과를 가짐 2229_d697bb-7f> |
이자율 |
경제 상황 변화 후 금리 조정 2229_2ce5bf-5e> |
중앙은행이 경제 상황을 보고 결정 2229_77df88-19> |
임금 상승률 2229_97beb9-2b> |
경기 회복 후 기업들이 임금 인상 2229_020de1-ee> |
고용시장 반응이 느리게 나타남 2229_c2fa43-38> |
부채 연체율 2229_397c59-36> |
경기 악화 후 대출 연체율 증가 2229_642bbf-f3> |
소비자·기업이 채무 불이행 시 반영 2229_eccb96-e2> |
재무제표 2229_b5144d-e6> |
년, 반기, 분기 등의 기업실적 보고서로 대표적인 후행지표에 해당 2229_049d82-e2> |
단 속익계산서의 매출원가와 판관비, 감가상각비는 때에 따라 선행지표로써 활용이 가능함. 2229_e6f6c2-16> |
재무비율 분석 2229_946b57-76> |
후행지표인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기업의 과거 실적을 분석함. 2229_2cd87b-90> |
PBR, BER, ROE 등 2229_a07da0-c5> |
2. 동행지표 종류
구분 2229_3ef611-db> |
설명 2229_75ce9b-2f> |
비고 2229_e62057-6a> |
---|---|---|
GDP(국내총생산) 2229_e25c34-e0> |
한 나라가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합한 값 2229_f5418e-1d> |
제 활동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지만, 분기별 발표로 실시간 대응이 어려움. 2229_0afead-71> |
2229_2963a3-21> |
생산물을 만들기 위해 기여한 대가로 받는 국내 총소득을 측정 2229_071434-db> |
소비·투자·정부 지출을 포함하여 경제 흐름을 파악하는 데 활용됨 2229_214a6f-8b> |
산업생산지수 2229_d1ab65-d0> |
제조업·광업 등의 생산 수준을 나타냄 2229_1e326d-10> |
경기 변동에 즉각 반응 2229_c4ac31-f1> |
고용률 2229_870578-37> |
현재 노동 시장의 상태를 반영 2229_f2112a-e2> |
실업률보다 빠르게 경제 상황을 보여줌 2229_2e572e-bf> |
소매판매지수 2229_5a94f2-86> |
소비자 지출을 통해 현재 경제 상황을 파악 2229_08a8c4-ed> |
소비 심리와 직접 연결 2229_9a8d03-40> |
개인소득 2229_d7caf5-4d> |
근로자의 소득 변화에 반영 2229_a1486f-97> |
소비 여력과 경기 흐름을 나타냄 2229_692ff9-5a> |
기업 투자 지출 2229_2ff55a-31> |
기업의 현재 투자 수준을 나타냄 2229_2995e8-5b> |
기업의 경기 신뢰도를 보여줌 2229_17a313-33> |
3. 선행지표 종류
구분 2229_75934f-26> |
설명 2229_4cb55f-ed> |
비고 2229_2cd5ad-5c> |
---|---|---|
주가지수(코스피, |
미래 경기 전망을 반영하는 대표적 지표 2229_978fcd-15> |
기업 실적과 투자 심리가 선반영 2229_93cb05-ba> |
신규 주택 |
주택 경기 및 건설업의 미래 흐름을 예측 2229_50ffbb-e5> |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 2229_d33142-18> |
제조업 구매관리 |
제조업 경기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 2229_ad301a-44> |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미만이면 위축 2229_1b4388-14> |
소비자신뢰지수 |
소비자들의 경기 전망에 대한 심리를 반영 2229_31fead-ac> |
소비 증가·감소의 선행 신호 2229_7bd4d3-c9> |
구인 건수 2229_f28f7d-3f> |
기업의 고용 의지를 나타냄 2229_79832c-ff> |
경기 회복 시 증가, 침체 시 감소 2229_e8d066-99> |
신규 수출 주문 2229_cdaa5b-17> |
해외 수요 증가 여부를 반영 2229_d81fc2-90> |
글로벌 경기와 밀접한 관련 2229_f3e342-f9> |
4. 결론
경제지표는 선행지표, 동행지표, 후행지표로 나뉘며, 각각 경제 상황을 예측·반영·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표들은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경제 흐름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고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