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좌비율(QR): 기업의 단기 부채 지급 능력으로 보는 유동성 평가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기업은 재무상태표의 부채 항목을 기준으로,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할 유동부채1년 이후에 갚아도 되는 비유동부채로 구분합니다.

이때 당좌비율(QR) 은 기업이 단기 채무를 얼마나 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전체 유동부채를 당좌자산으로 얼마나 충당할 수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당좌자산은 1년 이내에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현금, 현금성 자산, 매출채권 등이 포함됩니다.

현대자동차 당좌자산(2024년 사업보고서)
출처: https://dart.fss.or.kr/

당좌비율은 재고자산을 제외한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재고는 현금화에 시간이 걸리거나 매각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제외하며, 이를 통해 보다 보수적인 유동성 평가가 가능합니다.

Quick Ratio(QR) 요약

· 의미: 기업의 단기 채무 지급 능력을 평가하는 유동성 지표
· 계산식: (당좌자산 ÷ 유동부채)
※ 당좌자산 = 유동자산 – 재고자산
· 당좌자산 구성: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매출채권 등 1년 이내 현금화 가능한 자산
· 재고자산 제외 이유:
→ 현금화에 시간 소요
→ 판매 어려움 가능성
→ 보수적 평가를 위해 제외
유동부채: 1년 이내 상환해야 할 부채

✅ 당좌비율 계산 방법

한국어영어
당좌비율 계산 방법
당좌비율 계산 방법(영어)
  • 당좌자산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단기금융상품 + 매출채권 등
  • 유동부채 = 1년 이내 상환해야 할 부채 (예: 단기차입금, 매입채무 등)
당좌비율 계산기

✅ 적정 당좌비율 기준

당좌비율은 업종별 차이가 큽니다. 예를 들어 유통업은 재고가 많은 반면, IT나 서비스업은 상대적으로 낮은 재고 비중을 가지므로 당좌비율이 더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반면에 비율이 너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닙니다. 자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유휴 자금이 많을 수 있다는 뜻일 수 있습니다.

당좌비율

해석

100% 이상

단기 채무를 감당할 충분한 유동성 보유

100% 미만

단기 지급 능력에 일부 불안 요인 있음

50% 이하

유동성 위험 높음, 유동성 위기 가능성 검토 필요

🧑‍⚖️ Risk Disclaimer
본 콘텐츠는 교육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입니다. 또한 주가 전망 및 주가 분석 등의 콘텐츠가 금융 상품에 대한 매수·매도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 목적인 점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투자 결정은 사용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수익률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5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