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구조와 차이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기업의 경영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로, 매출은 기업이 올린 총수익, 영업이익은 본업에서 창출한 순수한 이익, 당기순이익은 모든 비용과 세금을 차감한 뒤 남는 최종 이익을 의미합니다.

Ⅰ.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차이

매출·영업이익·당기순이익은 손익계산서의 3단 구조를 이루는 핵심 지표지만, 각각 의미와 계산 단계가 뚜렷하게 다릅니다.

한국어영어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구조와 차이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구조와 차이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구조와 차이[영어]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구조와 차이

세 지표는 모두 연결된 흐름 속에 있지만, 매출은 ‘규모’, 영업이익은 ‘본업의 수익성’, 당기순이익은 ‘최종 성과’라는 기준으로 역할이 명확히 구분됩니다.

Ⅱ. 매출→영업이익→순이익 연결 흐름

손익계산서는 매출에서 시작해 영업이익, 최종적으로 당기순이익까지 단계적으로 좁혀지는 구조를 갖습니다. 각 단계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어떤 비용을 차감하느냐에 따라 지표의 성격과 의미가 달라집니다.

한국어영어
손익계산서의 흐름
손익계산서의 흐름[영어]

1️⃣ 매출

손익계산서의 출발점으로, 기업의 제품·서비스 판매를 통해 발생한 총수익을 의미합니다. 아직 어떠한 비용도 차감되지 않은 ‘최상단’ 지표입니다.

2️⃣ 매출총이익

매출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해 산출합니다. 이는 상품·서비스를 판매하는 데 직접적으로 들어간 원가를 제외하고 남는 이익으로, 본질적으로 매출의 ‘기초 마진’을 보여줍니다.

3️⃣ 영업이익

매출총이익에서 판매비와관리비(SG&A)를 차감해 계산합니다. 이는 기업의 본업(영업활동)만으로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영업외수익·영업외비용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4️⃣ 법인세차감전순이익

영업이익에 영업외수익을 더하고, 영업외비용을 차감해 계산됩니다. 기업의 본업 이외 활동(이자수익·지분법손익·외환관련 손익 등)을 반영한 이익으로, 세금 차감 전 기업 활동 전체에서의 성과를 보여줍니다.

5️⃣ 당기순이익

법인세차감전순이익에서 법인세를 차감한 금액으로, 기업이 한 회계기간 동안 최종적으로 벌어 들인 이익입니다.
주주에게 귀속되는 이익이기 때문에 ROE·EPS·PER 등 거의 모든 수익성·가치평가 지표의 기초가 됩니다.

Ⅲ.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비교표

구분

의미

계산 방식
(차감 구조)

해설

매출

제품·서비스 판매로
발생한 총수익

비용 차감 전 금액

기업의 외형 규모

영업이익

본업에서 실제로 남는 이익

매출 − 매출원가 − 판매비와관리비

본업 수익성
(핵심 영업 능력)

당기순이익

모든 비용을 차감한 최종 이익

영업이익 − 이자비용 − 영업외손익 − 법인세

최종 성과,
ROE·EPS·PER의 기초 지표

🧑‍⚖️ Risk Disclaimer
본 콘텐츠는 교육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입니다. 또한 주가 전망 및 주가 분석 등의 콘텐츠가 금융 상품에 대한 매수·매도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 목적인 점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투자 결정은 사용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수익률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9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