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주 우선주 차이: 괴리율, 배당금, 6가지 종류
우선주란 보통주와 달리 배당을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는 주식을 말합니다. 기업이 배당금을 지급할 때 보통주보다 먼저 배당을 받을 수 있지만, 대부분 의결권이 제한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시가총액을 구성하지만, 보통주와는 다른 특성으로 인해 시가총액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또한 보통주 의 가격 차이에서 발생하는 괴리율과 상환우선주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주의 특징과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보통주와 우선주 차이
구분 1526_e43e7d-61> |
보통주 1526_f0f43e-03> |
우선주 1526_83e28a-bf> |
---|---|---|
배당 1526_784e55-5d> |
후순위 1526_5c8b5b-a9> |
보통주보다 선순의 1526_9fef7c-57> |
의결권 1526_e8fd25-bf> |
있음 1526_4df675-33> |
제한되거나 없음(대부분 없음) 1526_711eba-19> |
가격 변동성 1526_b8910c-ab> |
상대적으로 큼 1526_716b0f-42> |
보통주보다 낮음 1526_3e5647-09> |
유동성 1526_1c5514-13> |
높음 1526_5980d8-58> |
낮음(거래량이 적을 가능성 큼) 1526_ad9a0e-46> |
상환가능여부 1526_789f9f-f0> |
없음 1526_9da848-56> |
상환우선주(일정 기간 후 원금 상환 가능) 존재 1526_52765d-02> |
배당을 안정적으로 받고 싶다면 우선주, 기업의 성장과 함께 주가 상승을 기대한다면 보통주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우선주는 웬만해서 의결권이 없는 대신 더 많은 배당과 상환이나 전환 등의 조건이 붙을 수 있으며, 배당이 일정 기간 지급되지 않으면 의결권을 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면, 보통주는 배당이 일정하지 않지만 기업의 실적이 성장할 경우 주가 상승에 따른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목적에 따른 선택이 필요한 사항입니다.
✅ 종류
우선주는 상환우선주, 전환우선주, 참가우선주, 누적우선주, 비누적우선주 크게 5가지로 나줄 수 있습니다.
🔲 상환우선주
상환우선주는 일정 기간 동안 우선주의 성격을 가지며, 만기가 되면 발행 회사가 되사서 소각하는 주식입니다. 회계상 자본으로 분류되지만 실질적으로는 부채에 가까운 성격을 가집니다. 보통주의 25% 이내에서 발행할 수 있으며, 보통주보다 약 1% 높은 배당을 받지만 의결권이 없습니다. 다만 배당을 받지 못하면 의결권이 부활합니다. 또한, 은행이 발행한 상환우선주는 상환기간이 30년 이상이면 기본자본, 30년 미만이면 보완자본으로 인정됩니다.
🔲 전환우선주. 우)전환
일정 조건에 따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정 기간 동안 우선주로서 배당을 받을 수 있지만, 특정 조건이나 시점이 되면 이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집니다. 보통주로 전환되면 그 후에는 우선주가 아닌 보통주 주주로서 의결권과 더불어 주가 상승을 통한 추가적인 이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참가우선주
일정한 배당률을 초과하는 추가적인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우선주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우선주는 고정된 배당률만 제공하지만, 참가우선주는 회사의 이익이 일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 추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 추가 배당금은 회사의 실적에 따라 변동하며, 주주가 일반 우선주보다 더 많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누적우선주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그 미지급 배당금을 향후에 반드시 지급해야 하는 우선주입니다. 즉, 회사가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더라도, 배당이 누적되어 나중에 배당을 지급할 때 그 미지급 분까지 함께 지급됩니다.
🔲 비누적우선주
배당금 지급이 누적되지 않는 우선주를 의미합니다. 즉, 만약 회사가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그 배당금은 후에 갚지 않으며, 차기 배당시에도 지급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우선주는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누적되어 이후에 지급될 때 지급되지만, 비누적우선주는 이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 신형우선주(우B)
한국에서 1996년 상법 개정 이후에 발행된 새로운 형태의 우선주이며 한국에만 해당하는 사항입니다. 이 주식은 기업이 반드시 주주들에게 배당을 지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른 우선주들과 차별화됩니다. 일반적인 우선주와 달리, 배당 지급 의무가 강화되어 있습니다.
✅ 괴리율
우선주의 배당금이나 액면가와 비교하여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 사이에 괴리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괴리율이 크다는 것은 시장 가격과 이론적 가치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의미로, 투자자들이 그 주식에 대해 얼마나 다른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