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술·기하평균 계산기: 최대 15개 입력값
평균은 여러 데이터를 대표하는 중심 값으로, 복잡한 수치를 간결하게 요약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하지만 평균이라고 해서 모두 같은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은 계산 방식부터 해석까지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 산술평균: 가장 일반적인 평균
산술평균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평균입니다. 단순히 여러 값을 더해서 항목 수로 나누는 방식으로, 대부분의 ‘평균’은 이 방식을 따릅니다.
📌 산술평균 계산 방법
(값1 + 값2 + ... + 값N)
산술평균 = ─────────────────────────────────────────
N
✅ 기하평균: 곱셈 구조의 평균
기하평균은 여러 값이 연속적으로 곱해지는 구조를 가질 때 적합한 평균입니다. 특히 연간 수익률이나 성장률처럼, 해마다 누적 효과가 반영되는 경우에 기하평균이 현실을 더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 기하평균 계산 방법
√(값1 × 값2 × ... × 값N)
기하평균 = ───────────────────────────────────────────────
N
✅ 산술·기하평균 계산기 활용
산술·기하평균 계산기는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을 함께 계산해 줍니다. 숫자 입력 후 마우스 이동 외에 [Tab]키를 눌러서 버튼 조작 없이 엔터를 치면 계산됩니다.
🔢 산술·기하평균 계산기
(지표 수치를 입력하세요)
※ 모든 결과 값은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되었습니다.
◻️ 7년 수익률 예시
아래는 7년간 수익률이 각각 10%, 7%, 8%, 3%, 7%, 6%, 8%일 경우,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을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냅니다.
재무 계산기 항목
├─Ⅰ.수익성 비율
│ ├─ 매출총이익률 계산기
│ ├─ 영업이익률 계산기
│ ├─ 순이익률 계산기
│ ├─ ROE(자기자본이익률) 계산기
│ ├─ ROA(총자산이익률) 계산기
│ └─ 세전계속사업이익률 계산기
├─Ⅱ.안정성 비율
│ ├─ 현금비율 계산기
│ ├─ 유동비율 계산기
│ ├─ 당좌비율 계산기
│ ├─ 부채비율 계산기
│ ├─ 유보율 계산기
│ ├─ 차입금비율 계산기
│ ├─ 이자보상배율 계산기
│ ├─ 자기자본비율 계산기
│ ├─ 자본잠식률 계산기
│ └─ [보조 안정성 지표]
│ └─ 순차입금비율 계산기
├─ Ⅲ. 성장성 비율
│ ├─ 매출액증가율 계산기
│ ├─ 영업이익증가율 계산기
│ ├─ 순이익증가율 계산기
│ ├─ EPS 증가율 계산기
│ └─ [추가 성장성 지표]
│ ├─ 자기자본증가율 계산기
│ └─ 판관비증가율 계산기
├─Ⅳ.활동성 비율
│ ├─ 총자산회전율 계산기
│ ├─ 자기자본회전율 계산기
│ ├─ 운전자본회전율 계산기
│ ├─ 재고자산회전율 계산기
│ └─ 매출채권회전율 계산기
├─Ⅴ.시장가치 비율·평가모델
│ ├─ PBR 계산기
│ ├─ BPS 계산기
│ ├─ PER 계산기
│ ├─ EPS 계산기
│ ├─ PCR 계산기
│ ├─ PSR 계산기
│ ├─ PEGR 계산기
│ └─ [평가모델]
│ ├─ CAPM 계산기
│ ├─ RIM 계산기
│ └─ 베타값 계산기
├─Ⅵ.금융 계산기 | ETC
│ ├─ 배당수익률 계산기
│ ├─ 단리·복리 계산기
│ ├─ 현재가치·미래가치 계산기
│ ├─ CAGR(연평균성장률) 계산기
│ ├─ ROAS 계산기(ETC)
│ ├─ 산술·기하평균 계산기
│ ├─ 퍼센트 계산기(ETC)
│ ├─ 증감율 계산기(ETC)
│ └─ 부가가치세 계산기(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