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 매출 분석: 수익성·성장성 | 5년 매출총이익률·매출액증가율(2025)

삼성중공업 매출은 최근 5년 동안 저점이던 6조 원대에서 10조 원대 초반까지 확대되며 뚜렷한 실적 개선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고부가가치 선종 수주와 조선 사이클 회복에 힘입어 매출 규모 뿐 아니라 이익 기여도까지 함께 개선된 점이 눈에 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조선업은 LNG 운반선·컨테이너선·방산 선박 수주가 겹치며 국내 빅3 수주잔고가 190조 원 안팎까지 쌓인, 이른바 ‘구조적 호황’ 국면에 들어섰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여기에 미국의 ‘마스가(MASGA, Make America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로 한국 조선사의 군함 MRO 및 조선소 현대화 참여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미 해군 지원함·군함 물량이 한국 조선소로 유입될 것이란 기대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이번 글은 삼성중공업 매출이 실제로 어떻게 변해 왔는지, 최근 5년간 매출총이익률과 매출액증가율을 통해 수익성과 성장성이 함께 개선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1️⃣ 삼성중공업 매출 데이터 확인

삼성중공업 매출 확인(야후 파이낸스 손익계산서)
출처: 야후 파이낸스

삼성중공업의 총 수익(매출)은 2021년 6조 6220억 원을 시작으로 2025년 추정치 10조 5124억 원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꾸준한 매출이 성장 했음을 보여 줍니다.

2️⃣ 5년 매출총이익률(GPM) 변화로 본 수익성

재무비율 분석에서 매출총이익률(GPM)은 본업에서의 수익성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매출원가 총수익(매출) 대비 매출원가를 비교하여 본업으로 보는 이익 창출 능력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한국어영어
삼성중공업 매출총이익률(GPM)
삼성중공업 매출총이익률(GPM)[영어]

5년 동안의 삼성중공업 매출총이익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어영어
삼성중공업 매출총이익률(GPM) 5년_계산기 입력
삼성중공업 매출총이익률(GPM) 5년_계산기 입력[영어]
삼성중공업 매출총이익률(GPM) 5년_그래프 확인
한국어영어
삼성중공업 매출총이익률(GPM) 5년_그래프 기반 표 확인
삼성중공업 매출총이익률(GPM) 5년_그래프 기반 표 확인[영어]

5년 동안의 삼성중공업의 매출총이익률(GPM)은 사실 상 1,2년은 효율성이 떨어지고 3년 차부터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년 차에는(2025년 추정치) 11.53%로 상당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PM 수준

해석

예시 업종 평균

40% 이상

매우 우수 🔵

소프트웨어, 플랫폼, 프리미엄 브랜드

20~39%

우수🟢

제조업, 소비재, 일부 브랜드 유통

10~19%

보통 🟡

유통업, 식음료, 일반 서비스업

10% 미만

낮음 🔴

도소매, 식품, 원가경쟁 심한 업종

3️⃣ 5년 매출액증가율 변화로 본 성장성

2025년(추정치) 매출액증가율은 6.15%입니다.

한국어영어
삼성중공업 2025년(추정치) 매출액증가율 계산
삼성중공업 2025년(추정치) 매출액증가율 계산[영어]

5년 간의 데이터를 매출액증가율 계산기로 확인한 결과

한국어영어
삼성중공업 매출액증가율 계산 후 그래프 및 표 같이 확인
삼성중공업 매출액증가율 계산 후 그래프 및 표 같이 확인[영어]

2021년 1년 차부터 시작하여 2년 차에는 -10.23% 이후 꾸준한 증가율을 보이며 마지막 2025년(5년 차)에는 6.15%로 낮은 매출액증가율을 보였지만 이미 3년 차와 4년 차에 걸쳐 상당 부분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정 매출액증가율에는 정답이 없지만 이미 3,4년 차에 높은 성장을 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정량화 할 수 없지만 어느 정도 표를 참조해 볼 수 있겠습니다.

기업 단계

연간 매출액 증가율(대략)

해석 포인트

성숙·안정기 대형사

0~5%

물가·경기만큼만 커지는 구간으로, 수익성·배당이 핵심. 경기민감 업종은 이 정도도 정상일 수 있음.

건전한 성장기

5~15%

시장 평균을 상회하는 성장으로, 원가·마진이 함께 개선되는지 확인 필요.

고성장기

15~30%

시장 점유율 확대 국면. 다만 판가 인하·저마진 수주로 만든 성장인지 GPM·영업이익률을 꼭 같이 봐야 함.

초고성장(특정 구간)

30% 이상

신제품·수주 폭증·M&A 등 이벤트성 요인이 많음. 지속 가능성, 설비·인력 부담, 현금흐름 악화를 함께 체크해야 함.

4️⃣ 수익성 vs 성장성 교차 분석: 질적 성장 여부 점검

수익성과 성장성을 함께 놓고 보면, 삼성중공업 은 “외형을 키우면서도 마진이 살아나는 회복 국면”에 들어선 모습입니다. 매출총이익률(GPM)은 1·2년 차에는 한 자릿수에 머무르며 효율성이 낮았지만, 3·4년 차에 두 자릿수로 올라선 뒤 5년 차(2025년 추정치)에는 약 11.5% 수준까지 개선되어 일반 제조업·조선업에 기대할 수 있는 보통~우수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매출액증가율은 2년 차에 -10%대 역성장을 겪은 뒤 3·4년 차에 높은 성장률로 리바운드했고, 5년 차에는 6%대로 안정적인 성장 구간에 들어선 모습입니다.

즉, 전형적인 “바닥 탈출 → 수주 회복기에 성장률 급반등 → 일정 수준에서 정상화” 패턴에 가깝고, 이 과정에서 GPM이 동반 개선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단순한 저마진 물량 확대보다는 질적 성장 쪽에 조금 더 무게를 둘 수 있습니다.

다만 업황·환율·선가 사이클 영향이 큰 조선업 특성 상, 이후에도 수익성과 성장성이 같이 유지되는지 추가 관찰이 필요하다는 점 정도만 짚어 주면 이 단락은 충분히 정리됩니다.

5️⃣ 삼성중공업 주가

삼성중공업의 최근 5년간 주가는 2021년 4,700원대에서 시작해 2025년 25,050원까지 약 5배 상승했습니다.

이는 매출원가 대비 매출액이 늘어나며 매출총이익률(GPM)이 적자 구간에서 두 자릿수로 개선되고, 매출액증가율 역시 2년 차 역성장 이후 3·4년 차에 큰 폭의 성장을 기록한 점이 투자자의 기대를 자극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주가는 조선업 업황, 금리·환율, MASGA 등 구조적 호황 기대까지 복합적으로 반영된 것이므로, 재무 지표는 “상승이 정당화되는지 점검하는 체크포인트” 정도로 활용하는 편이 적절합니다.

2025년 11월 삼성중공업 주가(출처- 야후 파이낸스)
출처: 야후 파이낸스
🧑‍⚖️ Risk Disclaimer
본 콘텐츠는 교육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입니다. 또한 주가 전망 및 주가 분석 등의 콘텐츠가 금융 상품에 대한 매수·매도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 목적인 점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투자 결정은 사용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수익률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공매도 세력과 주요 사례

    공매도는 주식시장에서 종종 논란이 되는 거래 방식입니다. 투자자들이 주식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더 낮은…

  • 2025년 테슬라 매출 : 3년 동안의 매출액증가율

    2025년 현재 테슬라 매출은 최근 3년간 매출 성장률이 급격히 둔화되며, 과거의 고성장 국면에서 사실상 정체(혹은 역성장) 단계로 전환된 모습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