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마진 정의와 기준

가치 투자자는 기업의 내재가치가 현재 시장가치보다 높다고 판단될 때, 안전마진을 확보한 후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내재가치는 할인된 현금흐름, 재무비율과 재무제표 분석, 경영진 평가, 동종 업계 비교, 섹터 및 업종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실제 가치를 평가하고, 충분한 안전마진이 확보될 때 투자에 나섭니다.

  • 내재가치 분석 요소
  • 할인된 현금흐름(DCF) 분석
  • 재무비율 및 재무제표 평가
  • 경영진 역량 및 기업 거버넌스 검토
  • 동종 업계 비교 및 시장 상황 고려

내재가치를 근거로 안전마진의 기준은 투자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벤저민 그레이엄, 워렌 버핏, 피터 린치 등 책에서 참고하고 개인적으로 기법을 활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서술하고자 합니다. 언급한 내용에서 상황에 맞게 다른 내용들 역시 보지만 안전장치(안전마진) 확보를 위해 필수로 보는 항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저평가 된 주식 찾기

기업의 재무비율 중 주당순자산가치(BPS) 및 주당순자산비울(PBR)을 보게 됩니다.

시장 가격보다 BPS가 더 높게 평가되었다는 것은 주식이 저평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시장 가격이 1만원인 주식의 BPS가 2만원으로 측정되어 있다면 기업을 청산 할 때 기업이 가진 부채를 정리하고 남은 금액인 1만원을 주주에게 돌려 줄 수 있습니다.

이 때 계산되는 PBR(또는 P/B)은 0.5가 됩니다. BPS 및 PBR 중에 상황에 맞게 PBR 하나만 확인해도 무방하며, 안전 마진을 확보하는 첫 번째 단계입니다.

✅ 배당금으로 안전마진 확보

기업이 특정 기간 꾸준하게 배당을 한다는 것은 주주에게 이익을 환원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재무 건전성이 우수함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뢰할 수 있는 투자처임을 나타내는 것이지요.

배당금은 경기 침체나 업종의 시장 하락 등으로 주가가 하락했을 때, 안전장치 역할을 합니다. 안전장치를 만들기 위해 가치 있는 주식을 몇 개 찾았다면, 그 중에 배당금을 주는 주식을 선택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삼아 투자를 합니다.

🔲 가치주와 성장주

배당금을 주는 가치주와 저평가 된 성장주를 찾았는데 성장주 역시 저평가 되었으므로 가치주에 포함됩니다. 이런 경우 배당금만 고집하지 않고 미래 주식의 상승 가능성 등을 여러 방면에서 고려한 후 한쪽 또는 분산 투자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배당주만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안전마진(margin of safety)
🧑‍⚖️ Risk Disclaimer
본 콘텐츠는 교육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입니다. 또한 주가 전망 및 주가 분석 등의 콘텐츠가 금융 상품에 대한 매수·매도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 목적인 점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투자 결정은 사용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수익률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5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