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뜻과 원리 | 발생 원인과 결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이 사용 된 것은 19세기부터입니다. “부풀리다”, “확대하다”의 뜻을 가진 라틴어 “īnflāre”가 어원입니다. 19세기 경제학에서 인플레이션은 주로 화폐 공급 증가로 인한 가격 상승을 의미했으며, 이후 개념이 확장되어 총 수요 증가, 비용 상승, 통화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물가 상승 현상을 포괄하게 되었습니다.

요점은 인플레이션이 통화량 팽창으로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 인플레이션 원인

경기가 좋을 때는 소비자들이 물건을 많이 구매하면서 기업은 더 많은 물건을 팔기 위해 더 많은 원자재의 구매 및 더 많은 직원을 고용합니다. 자연스레 원자재 값과 인건비가 올라가게 되고 이는 물건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인플레이션(Inflation), 주사위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크게 2가지로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입니다.

1.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물건의 수요가 가격 상승을 견인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건을 사려는 사람은 많지만 공급량이 따라가지 못 하는 상황을 이야기 합니다. 기업은 가격을 올려도 제품이 판매되므로 물가 상승이 지속됩니다.

1.1 화폐 발행 및 재정정책

중앙은행이 경기 활성화를 위해 기준금리 인하, 채권 매입으로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는 경우와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복지 및 인프라에 투자하기 위해 지출을 늘리면 시중에 화폐의 양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물가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정부의 재정정책 이렇게 2가지 정책의 관점에서 발생 원인을 볼 수 있으며, 다른 요인으로 인구 증가소비 수준 상승에 따른 관점에서 볼 수 있습니다.

1.2 인구증가 및 소비 수준 상승

대략 2000년 부터 2008년까지 인도와 중국 인구의 꾸준한 증가와 함께 경제 성장에 이은 소비 수준이 상승은 국제 원유, 곡물, 철광석 등의 원자재가 상승한 점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 정책에 의한 물가 상승
  •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금리 인하, 채권 매입 → 소비·투자 촉진 → 통화량 증가 → 물가 상승
  • 정부의 재정정책: 복지·인프라 투자 확대 → 시중에 돈이 풀림 → 수요 증가 → 물가 상승
  • 인구 증가 및 소비 수준 상승
  • 인구 증가로 소비자 수 증가 → 총수요 증가 → 물가 상승
  • 경제 성장으로 생활 수준 향상 → 소비 증가 → 원자재 및 상품 가격 상승

2.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해 기업이 가격을 올리면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입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 임금 상승, 공급망 문제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2.1 원자재 가격 상승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원유, 곡물, 철광석 등)의 가격이 상승하면 기업의 생산 비용이 증가합니다. 기업은 이 비용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게 되고, 결국 소비자들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국제 유가가 상승하면 운송비와 제조업 비용이 증가하여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2.2 임금 상승

근로자들의 임금이 오르면 기업의 인건비 부담이 커지고, 이를 제품 가격에 반영하면서 물가가 상승합니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은 외식업, 서비스업 등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가격 인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큽니다. 임금 상승이 지속되면 소비자들이 더 많은 지출을 하게 되고, 이는 다시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2.3 공급망 문제

자연재해, 전쟁, 무역 분쟁 등으로 인해 원자재나 제품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반도체 공급망이 붕괴되면서 자동차와 전자 제품의 가격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이처럼 공급망 차질은 특정 산업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경제에 영향을 미쳐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구분

원인

결과

원자재 가격 상승

원유, 곡물,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 상승

생산비 증가 → 제품 가격 상승

인건비 상승

금로자 임금 인상

기업의 인건비 증가 → 제품 가격 상승

공급망 문제

자연재해, 전쟁, 무역 분쟁 등으로 인한 공급 차질

원자재·부품 부족 → 제품 가격 상승

✅ 경제에 미치는 영향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과 비용 발생 인플레이션은 결국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줍니다.

물가 상승으로 동일한 금액으로 살 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가 줄어들어 소비자들의 실질 소득이 감소하며 결국 구매력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경기 위축으로 기업은 투자를 줄이게 됩니다. 구매력 함소는 통화가치 하락으로 이어져 환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여 가계와 기업의 경제 활동 둔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구매력 감소 ➡️ 경기 위축 ➡️ 통화가치 하락 & 환율 상승 ➡️ 금리 인상 & 경제 활동 둔화

영향

설명

비고

구매력 감소

물가 상승으로 동일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가 줄어들어 실질 소득이 감소함.

물가 상승 ➡️ 구매력 감소

경기 위축

구매력 감소로 소비가 줄어들고, 기업은 수익 악화로 인해 투자를 축소함.

구매력 감소 ➡️ 기업 수익 악화

통화 가치 하락 &환율 상승

구매력 감소가 이어지면 통화가치가 하락하고, 환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

구매력 감소 ➡️ 통화가치 하락 ➡️ 환율 상승

금리 인상 &
경제 활동 둔화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면, 대출 비용 증가로 가계와 기업의 경제 활동이 둔화됨.

기준금리 인상 ➡️ 시장금리 인상 ➡️ 가계·기업 경제활동 둔화

✅ 부채와 부의 이동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채무자는 유리하고 채권자는 불리해집니다. 기업이나 개인이 대출을 받았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가와 임금이 상승하면서 실질 부채 부담이 줄어듭니다. 대출을 받은 경우 화폐 가치 하락으로 대출 상환이 상대적으로 쉬워집니다. 반면, 저축을 한 사람은 돈의 가치가 하락해 손해를 보게 됩니다. 은행 예금에 돈을 맡기는 것보다 주식이나 채권, ETF 등의 금융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보유한 돈의 화폐가치 하락을 상쇄시키는 방법입니다.

노트북,주식,커피, 탁자위에서

인플레이션은 경제 내에서 부의 이동을 초래합니다. 기업과 투자자는 대출을 활용해 자산을 늘리고, 판매하는 물품의 가격 인상, 주식과 부동산 같은 금융 자산의 가격 상승이 좋은 예입니다. 정부는 세금 및 복지 정책을 통해 부의 부의 이동을 재분배 하지만 대체로 항상 부유한 건 기업과 투자자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