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자본회전율: 기업 자본 활용 효율성의 이해

자기자본회전율은 기업이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매출을 창출 하는지를 나타내는 재무비율입니다.

수치가 높을수록 적은 자원으로도 높은 매출을 달성하고 있다는 뜻이며, 반대로 낮은 경우 자금 운용에 비해 실적이 미흡하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자기자본은 기업의 총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뜻합니다.

Equity Turnover Ratio

· 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매출 창출 효율성 지표
· 비율이 높을수록 자본 활용이 효율적임
· 비율이 낮으면 자본 대비 매출 창출이 부족함
· 자기자본 = 총자산 − 부채 (순자산)

✅ 자기자본회전율 계산 방법

자기자본회전율의 계산 공식은 매출에서 자기 자본을 나누는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한국어영어
자기자본회전율 계산 공식
자기자본회전율 계산 공식(영어)

예를 들어 매출액 10억원, 자기자본 5억 원일 경우

자기자본회전율 계산 예시

자기자본회전률은 2가 됩니다.

✅ 시장 평균

시장 평균은 산업군에 따라 크게 다르기 때문에, 고정된 절대 평균 값은 없습니다. 다만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기준으로 대략적인 평균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업군

자기자본회전율

유통업 (소매, 도매)

4.0 이상 (매우 높음)

제조업

1.5 ~ 3.0

서비스업

1.0 ~ 2.0

금융업

낮거나 의미 없음

부동산업

0.5 이하

높을수록 좋다는 원칙은 있지만, 너무 높으면 매출액 대비 자기자본이 지나치게 작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ROE와 함께 봐야 정확한 해석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회전율이 지나치게 높다면, 이는 기업이 외부 차입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ROE(Return on Equity), 즉 자기자본 대비 순이익률을 함께 보면 단순한 매출 규모뿐 아니라 실제 수익성과 자본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Risk Disclaimer
본 콘텐츠는 교육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입니다. 또한 주가 전망 및 주가 분석 등의 콘텐츠가 금융 상품에 대한 매수·매도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 목적인 점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투자 결정은 사용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수익률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