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잠식 정의 | 부분잠식,완전잠식 기준(50%)과 자본잠식률 계산 방법
잠식이란, 원래 존재하는 것, 특히 자본이나 자산이 외부 요인이나 내부적 문제에 의해 서서히 소멸하거나 침식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자본잠식에서의 “잠식”은 기업이 지속적으로 손실을 보고, 그 손실이 자본을 차지하거나 소진하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홍수를 방지하기 위해 제방을 세워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습니다. 제방은 기업의 자본을, 침식은 부채나 적자에 의해 자본이 서서히 잠식되는 현상과 비슷합니다. 제방이 외부의 힘에 의해 침식되듯이, 기업도 경영 위기, 적자, 과도한 부채 등이 자본을 서서히 잠식시키며, 결국 자본이 소멸하게 되는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제방은 바람이나 물의 힘에 의해 제방이 서서히 침식되기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작은 손상으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쳐 제방이 완전히 무너지거나 약해지게 됩니다.
✅ 자본잠식의 과정
자본총계 또는 자본은 순자산으로,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값입니다. 이는 자기자본 또는 기업이 직접 소유한 자본을 의미하며, 자본을 조달한 부채와 구별됩니다.
기업이 계속해서 손실을 보면서 적자 누적으로 자본이 소멸합니다. 기업은 부채를 늘려가며 자본을 잠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회계에서 손실이 발생하면서 자본이 줄어들고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결과가 음수로 나오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회사 설립 시 자본금은 80억인 회사가 있습니다. 발행 주식의 총 액면 금액은 80억이며, 자본잉여금 20억원입니다. 첫 해에 이익잉여금이 20억원 발생하여 자본총계가 120억원이 되었습니다.
2년 째 되는 해에 80억원의 적자가 발생해서 영업으로 벌었던 이익잉여금 20억원과 자본잉여금 20억원 자본금 40억원이 모두 사용되고 자본(총자본)은 20억원이 되었습니다.
총자본은 20억인데 액면금액의 총 금액에 해당하는 자본금은 40억으로 자본 총액이 자본금보다 적어지는 것을 부분잠식이라고 합니다. 만약 3년 차에 남은 자본금마저 다 사용하게 되면 100% 잠식으로 완전잠식이 됩니다.
기준 2124_c2dab1-5e> |
자본금 2124_662946-b7> |
자본총계 2124_9f2dae-79> |
비고 2124_d5a46b-d0> |
---|---|---|---|
1년 차 경영 2124_a6f5aa-7f> |
80억원 2124_2db73d-b5> |
120억원 2124_b35b9c-ed> |
흑자 발생 2124_dd4a4e-0e> |
2년 차 경영 |
80억원 2124_3443f5-6e> |
20억원 2124_8a7a18-af> |
|
3년 차 경영 2124_cddc7a-3d> |
80억원 2124_8b255b-5a> |
-30억원 2124_20f5c8-2b> |
자본잠식률 100% 이상으로 |
✅자본잠식률에 따른 관리종목 지정과 상장폐지
자본잠식율은 자본총계가 자본금을 초과해서 마이너스가 될 때 계산하는 비율입니다. 자본잠식률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본잠식률에 따른 50% 이상이면 관리종목에 지정되고 자본금이 마이너스(-)가 되어 자본잠식률이 100%일 경우는 상장폐지가 결정됩니다.
잠식에 따른 |
관리종목 지정 2124_64a1fe-8e> |
상장폐지 2124_0226e3-4e> |
---|---|---|
유가증권 2124_79b907-57> | 2124_ef7809-07> | 2124_f36bc4-04> |
코스피 2124_a053e2-af> | 2124_e725eb-47> | 2124_cd3e23-09> |
✅ 자본잠식을 피하는 방법
1.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주주들에게 신주를 발행하여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방법입니다. 기업이 신규 자금을 조달하여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자본잠식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2. 주식감자
주식감자는 발행된 주식의 일부를 소각하여 자본금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지만, 감자 방식에 따라 주주의 지분율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식감자는 기업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재구성하고 재무 건전성을 회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방법 2124_e3bcd8-f5> |
설명 2124_d60b24-be> |
비고 2124_510f32-13> |
---|---|---|
2124_cda079-4d> |
신주를 발행하여 신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2124_b55d6a-f6> |
– 자본금 증가 |
2124_a486b6-cd> |
발행된 주식의 일부를 소각하여 자본금 감소 2124_25610a-f1> |
자본 재구성 가능 |
✅ 결론
자본잠식은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워랜버핏의 주식투자 1원칙: “절대로 돈을 잃지 마라”를 참고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잠식으로 인한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조건에 해당하는 심각한 재무위험을 가진 기업을 선별하여 제외시키고 안전마진을 확보한 기업에 집중하는 것이 성공적인 투자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