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현금흐름비율(PCR PC/F) 개념과 계산 방법 2가지 | PER 이상의 재무비율 분석법
주가현금흐름비율(PCR)은 주가와 영업활동현금흐름 비율을 나타 낸 것입니다. 기업의 이익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주가수익비율(PER)은 중요한 지표임은 틀림없지만 회계 처리 방법에 따라 한 회사의 PER이 2 또는 1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주가현금흐름비율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주가현금흐름은 낮을수록 저평가, 높을수록 고평가 된 것으로 판단합니다. 비율이 저평가일수록 그만큼 주식의 상승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 PER로 부족할 때?
PER은 회계상의 순이익을 기준으로 하지만, PCR은 현금흐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왜곡이 적은 편입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기업이 제품 한 개를 생산하기 위해 제품 당 원자재를 1월 달에 5천원에 구입했고, 2월 달에는 1만원에 구입했습니다. 제품의 가격은 2만원입니다. 이때 1월에 산 원자재 기준으로 이익 계산을 하면 1만 5천원, 2월 달 기준으로 하면 1만원의 이익이 남습니다. 현재 주가는 4만원입니다. 총 주식 수는 1,000주입니다.
1월에는 PER이 2.67, 2월에는 PER이 4.0이 됩니다.
✅ 주가현금흐름비율(PCR) 계산법
PCR의 계산 방법은 보통 2가지로 분류할 있습니다.
1. 주당현금흐름 기준
주당현금흐름 기준은 주식 한 주당 현금흐름을 기본으로 한 방식이며, 개인 투자자 및 애널리스트가 개별 주식의 매력도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2. 시가총액 기준
시장 가치(시가 총액)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주로 기관 투자자, 펀드매니저, 기업 재무분석가가 기업의 전반적인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합니다.
✅ PCR 확인
네이버페이 증권에서 PCR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경로입니다. SK하이닉스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종목분석] [투자지표] 순으로 클릭 한 후에 마우스를 아래로 스크롤 해 줍니다.
✅ 주가현금흐름비율(PCR) 적정 기준 및 해석표
그럼 주가현금흐름비율이 이 낮을수록 좋다는 평가 기준은 어느 정도 비율을 나타내는지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일반적일 수 있으며 주관이 들어간 기준을 대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PCR 범위 2233_039524-1b> |
평가 기준 2233_6a4e40-23> |
해석 및 유의점 2233_a90318-0b> |
---|---|---|
1 이하 2233_e0f8c8-6e> |
매우 저평가 2233_f70479-f8> |
|
1~5 2233_4cbcdd-c2> |
저평가 가능성 있음 2233_1dd9cf-80> |
|
5~10 2233_df3f54-ee> |
적정 수준 2233_7c2e2a-39> |
|
10 이상 2233_ec53d0-62> |
고평가 가능성 2233_a3c294-79> |
|
🔲 주가현금흐름비율(PCR) 저평가 기준은?
일반적으로 PCR이 1~5 이하일 때 저평가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특히 1 이하라면 매우 저평가된 상태로 볼 수 있지만, 일시적인 현금흐름 급증일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산업 평균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며, PER, PBR과 함께 활용하면 더 정교한 가치 평가가 가능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