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현금흐름비율(PCR PC/F) 개념과 계산 방법 2가지 | PER 이상의 재무비율 분석법

주가현금흐름비율(PCR)은 주가와 영업활동현금흐름 비율을 나타 낸 것입니다. 기업의 이익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주가수익비율(PER)은 중요한 지표임은 틀림없지만 회계 처리 방법에 따라 한 회사의 PER이 2 또는 1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주가현금흐름비율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주가현금흐름은 낮을수록 저평가, 높을수록 고평가 된 것으로 판단합니다. 비율이 저평가일수록 그만큼 주식의 상승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 PCR(Price Cash-Flow Ratio or PC/F) 요약 정보
  • 주가를 영업활동현금흐름으로 나눈 비율.
  • 현금흐름 대비 주가가 고평가 or 저평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지표.
  • 낮을수록 저평가 → 상승 가능성 높음.
  • 높을수록 고평가 → 하락 가능성 있음.
  • 회계 처리 방식에 따라 변동 되는 이익을 근거로 한PER과 달리 PCR은 현금흐름 기준이라 왜곡이 적음.

✅ PER로 부족할 때?

PER은 회계상의 순이익을 기준으로 하지만, PCR은 현금흐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왜곡이 적은 편입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기업이 제품 한 개를 생산하기 위해 제품 당 원자재를 1월 달에 5천원에 구입했고, 2월 달에는 1만원에 구입했습니다. 제품의 가격은 2만원입니다. 이때 1월에 산 원자재 기준으로 이익 계산을 하면 1만 5천원, 2월 달 기준으로 하면 1만원의 이익이 남습니다. 현재 주가는 4만원입니다. 총 주식 수는 1,000주입니다.

1월에는 PER이 2.67, 2월에는 PER이 4.0이 됩니다.

  • PCR은 PER을 보완 해 주는 지표입니다.
  • PER은 순이익, PCR은 현금 기반 계산
  • PER에 비해 왜곡이 적음
  • 낮은 PER과 높은 순이익에도 불구하고 부도가 발생하는 기업이 있으므로 PCR을 함께 확인.

✅ 주가현금흐름비율(PCR) 계산법

PCR의 계산 방법은 보통 2가지로 분류할 있습니다.

1. 주당현금흐름 기준

한국어영어
주가현금흐름비율(PCR) 계산법_주당영업현금흐름 기준
주가현금흐름비율(PCR) 계산법_주당영업현금흐름 기준(영어)

주당현금흐름 기준은 주식 한 주당 현금흐름을 기본으로 한 방식이며, 개인 투자자 및 애널리스트가 개별 주식의 매력도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2. 시가총액 기준

한국어영어
주가현금흐름비율(PCR) 계산법_시가총액기준 기준
주가현금흐름비율(PCR) 계산법_시가총액기준 기준(영어)

시장 가치(시가 총액)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주로 기관 투자자, 펀드매니저, 기업 재무분석가가 기업의 전반적인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합니다.

✅ PCR 확인

네이버페이 증권에서 PCR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경로입니다. SK하이닉스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네이버페이 증권-종목분석_투자지표(Feat. SK하이닉스)
출처: 네이버페이 증권

[종목분석] [투자지표] 순으로 클릭 한 후에 마우스를 아래로 스크롤 해 줍니다.

네이버페이 증권-종목분석_SK하이닉스_PCR 확인(PCS 기준)
출처: 네이버페이 증권
  • CFPS(영업활동현금흐름) 기준이 아닌 CPS(현금 및 현금성 자산) 기준으로 계산한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 주가현금흐름비율(PCR) 적정 기준 및 해석표

그럼 주가현금흐름비율이 이 낮을수록 좋다는 평가 기준은 어느 정도 비율을 나타내는지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일반적일 수 있으며 주관이 들어간 기준을 대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PCR 범위

평가 기준

해석 및 유의점

1 이하

매우 저평가

  • 현금흐름 대비 주가가 매우 낮음
  • 저평가 가능성이 크지만, 일시적 현금흐름 급증인지 확인 필요

1~5

저평가 가능성 있음

  • 전통적인 가치투자 관점에서 저평가된 주식으로 볼 수 있음
  • PER이 낮고 PCR도 낮다면 저평가 가능성이 높음

5~10

적정 수준

  • 산업 평균과 비교 필요
  • 기술주 등 특정 산업군은 평균 PCR이 높을 수도 있음

10 이상

고평가 가능성

  • 주가가 현금 창출력에 비해 높은 상태
  • 성장성이 반영된 경우일 수도 있지만, 과대평가 가능성 존재

🔲 주가현금흐름비율(PCR) 저평가 기준은?

PBR(Price to Book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일반적으로 PCR이 1~5 이하일 때 저평가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특히 1 이하라면 매우 저평가된 상태로 볼 수 있지만, 일시적인 현금흐름 급증일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산업 평균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며, PER, PBR과 함께 활용하면 더 정교한 가치 평가가 가능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