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투자수익 2가지: 자본손익(가격변동)과 이자수익
채권은 예금처럼 얘금자보호법을 받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안전자산으로 분류합니다.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원자재(금x)나 주식에 비해 낮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보통 채권투자를 하는 투자자조차도 이자수익을 목적으로 하지만 채권 투자수익은 ①자본손익과 ②이자수익으로 나뉘어집니다.
채권 시장의 변동성은 주식만큼 크지 않습니다. 채권 투자수익은 상당 부분 영향을 주며, 한국 채권보다 미국과 같은 해외 채권은 채권 만기(듀레이션)이 길기 때문에 가격 변동에 따른 자본손익의 차이가 크게 나타납니다. 채권 투자 시 시장금리의 변화에 따른 채권의 변하지 않는 명목금리인 표면금리(쿠폰 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와 채권의 가격인 자본손익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채권 투자수익
채권 투자수익은 이자수익과 자본손익으로 구분되는 점을 앞서 언급했습니다. 자본손익은 가격 변동에 따라 자본이익과 자본손실로 나뉩니다.
🔲 자본손익: 채권 가격과 인플레이션
채권의 자본손익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는 인플레이션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일정하게 상승하면, 채권 가격에 의해 결정되는 명목지자율은 실질 구매력이 하락하게 되어 채권의 가치는 하락합니다.
예를 들어 5년 만기 3% 쿠폰이자율이 적용 된 국채를 1억원에 매입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매 년 300만원의 이자가 지급되지만 해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매년 발생하는 이자수익 400만원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하락합니다. 보유한 기존 채권의 실질적인 구매가치는 당연히 하락하게 됩니다.
🔲 기준금리와 인플레이션, 경기침체와 금리
채권의 가격과 금리는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의 변동에 의해 시장금리(채권 금리)가 따라 움직입니다. 채권 가격은 결국 금리에 의해 변동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채권 가격음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투자자들은 금리 변동을 예측하여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 가격은 상승하고,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며, 시소처럼 서로 반대로 움직입니다.
금리 변화 2040_28e98d-88> |
채권 가격(자본 손익) 2040_fadf26-9b> |
---|---|
금리 상승⬆️ 2040_3f2e9c-fd> |
가격 하락⬇️으로 자본손실 2040_432c18-44> |
금리 하락⬇️ 2040_a3ad75-9c> |
가격 상승⬆️으로 자본이익 2040_1b7f26-2a> |
채권의 가격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금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채권 금리(및 시장 금리)는 결국 기준금리를 따라가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기준금리는 인플레이션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올리며. 반대로 경기침체 시기에는 반대로 금리를 낮춰 경기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경제 상황 2040_b33a58-29> |
금리 변화 2040_8644c7-90> |
채권 가격(자본 손익) 2040_993ff2-34> |
---|---|---|
인플레이션 억제 2040_ccf074-f4> |
금리 상승⬆️ 2040_8bfe3b-30> |
가격 하락⬇️으로 자본손실 2040_63716a-0f> |
경기 침체 2040_cd6b6e-d0> |
금리 하락⬇️ 2040_a8336d-61> |
가격 상승⬆️으로 자본이익 2040_fa9ff7-cd> |
1. 인플레이션 억제 시기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는 신규 채권 발행 금리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새롭게 발행되는 채권은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하므로 기존의 낮은 금리 채권은 상대적으로 덜 매력적으로 보이게 됩니다. 그 결과, 기존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장기 채권일수록 금리 상승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장기 채권은 만기까지의 기간이 길기 때문에, 금리가 상승할 때 기존 채권의 고정 금리가 더 불리하게 작용하여 가격 하락폭이 더 커집니다. 따라서 금리 상승이 계속될 경우, 장기 채권을 보유한 투자자는 가격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시기에 채권의 가격이 하락했으므로 하락한 가격에 산다면 정해진 채권의 쿠폰 이율을 적용 받아 상대적으로 투자 금액 대비 더 높은 금리를 제공 받게 됩니다.
2. 경기 침체 시기
경기 침체 시기에는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리 인하는 경제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조치로, 기업과 개인의 대출이자 부담을 줄여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려는 목적을 가집니다.
이때 금리가 낮아지면 기존 채권의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기존 채권이 제공하는 고정 금리가 상대적으로 매력적이기 때문에, 채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특히 장기 채권은 금리 인하에 더 큰 영향을 받아 가격 상승폭이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기 침체 시기에 금리가 낮아지면 장기 채권을 보유한 투자자는 자본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 경기 침체와 활성화 시기 자산 변화와 가치투자 전략
경제 상황 2040_56fa62-90> |
금리 변화 2040_e3f531-18> |
채권 가격(자본 손익) 2040_a08592-49> |
주식·부동산 2040_131ccf-aa> |
---|---|---|---|
경기 활성화 |
금리 상승 가능성⬆️ 2040_740fc8-62> |
낮은 가격⬇️ 2040_8fb714-28> |
자산가치 상승⬆️ 2040_144990-ec> |
인플레이션 정책 시행 2040_4194be-c4> |
금리 상승⬆️ 2040_036a1b-58> |
가격 상승 진행⬆️ 2040_cd0d58-41> |
자산 가치 하락 진행⬇️ 2040_3e852f-61> |
경기 침체 2040_8ae190-13> |
금리 하락 또는 |
가격 상승⬆️ 2040_8a6ec1-00> |
자산가치 하락⬇️ 2040_dbe5f1-85> |
만약 주식의 배당금이나 채권 이자수익보다는 자본 손익(가격 변동)에 더 비중을 둔 투자자라면 경기활성화 시기에는 채권에 투자하고 주식을 매도하는 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후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정책을 시행하여 시장의 변화가 감지된 경우 주식의 매수 준비 또는 매수를 시작할 단계입니다.
경기 침체 시기에는 채권 가격이 상승했으므로 채권을 매각해 자본손익을 본 후에 저평가 된 주식을 매수하는 시기입니다.
경제 상황 2040_afad19-36> |
투자 전략 2040_3268c8-89> |
채권 가격(자본 손익) 2040_414c53-12> |
주식·부동산 2040_a5801e-d1> |
---|---|---|---|
경기 활성화 |
채권 매수, 주식 매도 2040_fca217-c2> |
낮은 가격⬇️ 2040_8c6056-b7> |
자산가치 상승⬆️ 2040_cdc93c-5d> |
인플레이션 정책 시행 2040_44c98d-83> |
|
가격 상승 진행⬆️ 2040_ec3148-25> |
자산 가치 하락 진행⬇️ 2040_44ea28-b8> |
경기 침체 2040_4a8bde-b2> |
채권 매도 주식 매수 2040_d43f85-94> |
가격 상승⬆️ 2040_da92cf-c2> |
자산가치 하락⬇️ 2040_43a456-42> |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