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자산회전율 계산기

총자산회전율 계산기를 이용해 기업의 적정한 값을 구합니다.

📘 총자산회전율 해석 가이드

총자산회전율은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매출로 전환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이 수치는 산업별 특성과 기업의 경영 전략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 높음 (2 이상)
    자산 1원당 2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다면, 자산 활용이 매우 효율적인 상태입니다. 유통업, 소비재 산업처럼 회전이 빠른 업종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 적정 (1 ~ 2)
    자산을 안정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매출로 잘 연결시키고 있는 수준입니다. 제조업, 통신업, 헬스케어 등에서 자주 보입니다.
    • 0.6~0.9: 다소 낮지만 많은 업종에서 적정 또는 안정적인 수준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 낮음 (0.5 이하)
    자산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금융, 부동산처럼 자산 회전이 느린 산업에서는 이 수치가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 총자산회전율 계산기 활용

총자산회전율 계산기 사용 시 단독으로 보기보다는 유사 업종 또는 같은 기업의 과거 수치와 함께 비교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총자산회전율 계산기 (매출액 ÷ 총자산)
매출액 (원):
총자산 (원):

총자산회전율: 0

적정 범위:

총자산회전율 계산기 활용을 위한 예시

만약 기업의 매출액이 1,000억 원이고, 총자산이 500억 원이라면, 위와 같은 경우 기업은 보유한 자산 1원당 2원의 매출을 발생 시킨다는 의미입니다.

총자산회전율 범위

설명

적합한 산업/기업 예시

2 이상 🟩

자산을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 자산 1원당 2원의 매출을 올림.

소비재, 유통업 등 자산 회전이 빠른 산업

0.6~2 사이 🟨

자산이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안정적인 자산 확보가 이루어지고 있음.

제조업, 헬스케어, 통신업 등 안정적인 자산 활용이 필요한 산업

0.5 이하 🟥

자산이 비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을 가능성, 자산 과잉 또는 자산 회전이 느린 산업에서 자주 나타남.

부동산, 금융업 등 자산이 고정적이고 대규모로 운용되는 산업

재무 계산기
  • 1. 수익성 비율
    • 매출총이익률 계산기
    • 영업이익률 계산기
    • 순이익률 계산기
    • ROE(자기자본이익률) 계산기
    • ROA(총자산이익률) 계산기
    • ROIC 계산기
    • EBITDA 마진율 계산기
    • 세전계속사업이익률 계산기
  • 2. 안정성 비율
    • 유동비율 계산기
    • 당좌비율 계산기
    • 부채비율 계산기
    • 유보율 계산기
    • 순차입금비율 계산기
    • 이자보상배율 계산기
    • 자기자본비율 계산기
    • 자본잠식률 계산기
  • 3. 성장성 비율
    • 매출액증가율 계산기
    • 영업이익증가율 계산기
    • EPS 증가율 계산기
  • 4. 활동성 비율
    • 총자산회전율 계산기
    • 총부채회전율 계산기
    • 총자본회전율 계산기
    • 순운전자본회전율 계산기
    • 재고자산회전율 계산기
    • 매출채권회전율 계산기
  • 5. 시장가치 비율·평가모델
    • PBR 계산기
    • BPS 계산기
    • PER 계산기
    • EPS 계산기
    • PCR 계산기
    • PSR 계산기
    • PEGR 계산기
    • CAPM 계산기
    • RIM 계산기
    • 베타값 계산기
  • 6. 금융 계산기 (ETC)
    • 단리·복리 계산기
    • 현재가치·미래가치 계산기
    • 배당수익률 계산기
돈나무-나무의 돈 주머니N집과 금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