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관비 항목 분석: 인건비·광고비 등 주요 분류 | 재무 분석 활용
손익계산서의 판관비는 기업의 영업 활동을 지원하는 비용으로, 기업의 판매와 관리 유지에서 발생하는 매출원가 외에 발생하는 간접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 항목은 기업의 경영 효율성과 수익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인건비·광고선전비·임차료 등 다양한 계정과목으로 구성됩니다.
✅ 손익계산서의 판관비 계정 알아보기
손익계산서
├─ 매출액 [계정]
├─ 매출원가 [계정]
├─ 매출총이익[계정]
├─ 판관비( 판매비와관리비)[계정]
├─ 영업이익(손실) [계정]
├─ 영업외수익 [계정]
├─ 영업외비용 [계정]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계정]
├─ 법인세 [계정]
└─ 당기순이익 [계정]
판매 관리비는 기업이 상품을 판매하는데 있어 영업 활동을 지원하는 계정입니다.
판관비와 매출원가는 어떻게 다른가요?
판관비는 판매와 경영을 위한 간접 비용이며, 인건비·광고비·사무실 임차료 등이 포함됩니다.
반면, 매출원가는 제품을 만들거나 서비스 제공에 직접 소요된 직접 비용으로, 원재료비·외주가공비 등이 해당됩니다.
즉, 매출원가는 생산, 판관비는 판매 및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매출원가를 제외한 모든 비용입니다
판관비(판매비와 관리비) [계정]
├─ 인건비 관련 [계정 분류]
│ ├─ 급여 [계정과목]: 임직원에게 지급되는 임금, 수당, 상여금 등
│ ├─ 퇴직급여 [계정과목]: 퇴직금 및 명예퇴직 등 예상치 못한 퇴직에 대한 급여
│ └─ 복리후생비 [계정과목]: 4대 보험료, 건강검진비, 경조사비 등
│
├─ 임차·감가 관련 [계정 분류]
│ ├─ 임차료 [계정과목]: 부동산·기계장치·운반구 등의 임차 비용
│ ├─ 감가상각비 [계정과목]: 유형자산의 취득 원가를 연수에 따라 분배
│ └─ 무형자산상각비 [계정과목]: 산업재산권, 영업권, 개발비 등의 상각비
│
├─ 세금 및 공과 [계정 분류]
│ └─ 세금과공과 [계정과목]: 주민세, 재산세, 자동차세, 상공회의소 회비 등
│
├─ 연구개발 관련 [계정 분류]
│ ├─ 연구비 [계정과목]: 연구 및 기초개발단계 비용
│ └─ 경상개발비 [계정과목]: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개발 관련 비용
│
├─ 차량·통신·수도광열 [계정 분류]
│ ├─ 차량유지비 [계정과목]: 세차비, 주유비, 수선비, 통행료 등
│ ├─ 통신비 [계정과목]: 전화, 우편료, 통신장치 유지비용
│ ├─ 여비교통비 [계정과목]: 국내외 출장 관련 교통비
│ └─ 수도광열비 [계정과목]: 수도료, 전력료, 가스요금 등
│
├─ 수선·소모 관련 [계정 분류]
│ ├─ 수선비 [계정과목]: 유형자산의 수리·성능 유지 비용
│ ├─ 도서인쇄비 [계정과목]: 도서구입, 명함·팜플렛 인쇄, 복사, 번역료 등
│ ├─ 포장비 [계정과목]: 상자, 외주포장비 등
│ └─ 소모품비 [계정과목]: 건전지, 전구, 복사기 부품 등
│
├─ 광고·판촉 [계정 분류]
│ └─ 광고선전비 [계정과목]: 광고 캠페인, 홍보비, 디자인비 등
│
└─ 접대·보관 등 기타 [계정 분류]
├─ 접대비 [계정과목]: 거래처 접대 관련 비용
├─ 보관료 [계정과목]: 창고 보관 비용
├─ 견본비 [계정과목]: 샘플·견본 상품 비용
└─ 지급수수료 [계정과목]: 용역비, 송금·이체 수수료, 청소·경비용역 등
✅ 판관비와 영업이익의 관계
손익계산서에서 영업이익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계산됩니다.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관리비(판관비)
즉, 판관비는 영업이익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는 비용 항목으로 작용합니다. 기업의 매출이 일정하더라도 판관비가 증가하면 영업이익은 줄어들게 되며, 반대로 판관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면 영업이익률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구분 4659_c812e1-51> |
A기업 4659_8550fe-b7> |
B기업 4659_470f93-ff> |
---|---|---|
매출총이익 4659_8fba55-bf> |
10억 4659_4fdc9f-37> |
10억 4659_08d694-a4> |
판관비 4659_b911c6-fe> |
7억 4659_7cbba1-8f> |
5억 4659_c79ebd-e9> |
영업이익 4659_94e5f8-03> |
3억 4659_892d4c-f4> |
5억 4659_b9d6e8-61> |
→ 같은 매출총이익이라도 판관비 관리 여부에 따라 영업이익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판관비 항목 별 증감 원인
판관비는 인건비, 광고선전비, 운반비, 감가상각비, 지급수수료 등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별 증감은 기업의 경영 전략 및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요 항목별로 증감 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4659_6ff499-71> |
주요 증감 요인 4659_1cec68-33> |
---|---|
인건비 4659_b90f7a-f7> |
인력 충원, 임금 인상, 성과급 지급, 노무비 증가 등 4659_0010cd-14> |
광고선전비 4659_156a83-0b> |
브랜드 캠페인 강화, 신제품 출시, 글로벌 마케팅 확대 4659_e2d3cc-d2> |
운반비 4659_cd5e7f-91> |
물류비 상승, 유가 변동, 운송 거리 증가 등 4659_57df77-c6> |
감가상각비 4659_bf2382-4b> |
유형자산 신규 취득, 자산 규모 확대 4659_165ae6-96> |
지급수수료 4659_1e58f8-a7> |
외부 용역 확대, 컨설팅·전문 서비스 비용 증가 4659_788c96-06> |
기타 4659_4e702d-f6> |
환율 영향, 일회성 비용 발생, 내부 정책 변화 등 4659_eebaba-d5> |
✅ 판관비의 재무분석 활용: 효율성 평가 지표
판관비는 단순한 비용 항목을 넘어, 기업의 비용 효율성과 수익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됩니다. 대표적인 분석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표명 4659_018f49-de> |
계산식 4659_df337b-16> |
분석 목적 4659_531bb0-66> |
---|---|---|
판관비율 4659_8eac2f-2e> |
(판관비 ÷ 매출액) × 100 4659_9b8779-ea> |
매출 대비 판관비 부담 수준 평가 4659_c45d73-b9> |
판관비 증가율 4659_c08bda-33> |
((당기 판관비 − 전기 판관비) ÷ 전기 판관비) × 100 4659_094b5e-9f> |
전년 대비 판관비 증가 속도 분석 4659_90d96e-95> |
영업이익률 4659_d20e11-c2> |
(영업이익 ÷ 매출액) × 100 4659_5d86c6-41> |
판관비 효율을 포함한 전체 수익성 평가 4659_2b31a7-5b> |
매출액 대비 |
(인건비 ÷ 매출액) × 100 4659_f6f083-66> |
인건비 중심 비용 효율성 평가 4659_2c6e3b-f5> |
광고비 비중 4659_f0c36f-a4> |
(광고선전비 ÷ 매출액) × 100 4659_8638d4-13> |
마케팅 집행 강도와 전략 판단 4659_0803d3-a7> |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