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EX 계산기(&CEPEX 비율 계산기): 현금흐름표와 감가상각비 자본적 지출 계산 방법 2가지
CAPEX 계산기를 활용해서 기업의 실제 투자활동 규모와 재무전략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현금흐름표와 감가상각비를 기반으로 CAPEX를 직접 계산하거나 추정하면, 단순한 숫자를 넘어 기업의 성장성·설비투자 주기·현금 운용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는 재무제표를 통해 자본적 지출을 해석하는 실무적 접근 방식으로 현금흐름표와 감가상각비를 이용한 계산기를 두 가지의 계산기를 제공합니다.
Ⅰ. 현금흐름표를 통한 CAPEX
CAPEX는 보통 재무제표의 ‘투자활동 현금흐름’ 구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구조는 CAPEX 계산기에서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이며, 기업의 실제 투자활동 내역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입니다.
Ⅱ. 감가상각비를 이용한 CAPEX 계산
기업이 현금흐름표 세부 항목을 공개하지 않거나, 연도별 변동치를 빠르게 비교해야 하는 경우 CAPEX 계산기는 감가상각비 기반 추정식을 통해 투자규모를 근사치로 산출할 수 있습니다.
Ⅲ. CAPEX 계산기 활용
CAPEX 계산기(자본적 지출 계산기)는 단순히 수치를 구하는 도구가 아니라, 기업의 성장성·투자 효율성·재무 건전성을 함께 평가하기 위한 분석 도구입니다.
- 현금흐름표 기반 CAPEX → 실제 투자활동 규모 파악
- 감가상각비 기반 CAPEX → 추세 비교·추정 분석
- 순CAPEX 계산 기능 → 투자활동의 순효과(유입–유출) 분석
이를 통해 기업의 투자 집행 강도, 설비 투자주기, 현금창출력 대비 투자 여력(FCF)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CAPEX 비율 계산을 이용하여, 적정성 여부 역시 동시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국 CAPEX 계산은 재무비율 분석의 핵심 도구이자, 기업의 ‘성장과 효율성의 균형’을 시각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지표 시스템으로 활용됩니다.
📌 기존 공시 CAPEX + CAPEX 비율 분석
CAPEX 계산기는 [기존 공시 CAPEX] + [CAPEX 비율 분석] 2가지 입력만으로도 계산되어 일반 투자자도 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항목 중 하나만 입력해도 적용이 각각의 계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회계 관련 종사자 또는 전문 투자자는 상세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 [📦추가 항목(미입력 가능)]을 입력하여 계산이 가능합니다.
🧮 CAPEX 계산기 (현금흐름표 + 공시 CAPEX 비교)
💾 공시 CAPEX (선택 입력)
📊 CAPEX 비율 분석 (공시 & 기본 CAPEX 적용 항목)
📦 기본 CAPEX 계산 항목
📦 보조 포함 항목 (선택 입력)
📑 CAPEX 현금흐름표
├─ 🗂️영업활동 현금흐름
├─ 🗂️투자활동 현금흐름
│ ├─📦기본 CAPEX 계산 대상
│ │ ├─📄유형자산의 취득 (–)
│ │ ├─📄무형자산의 취득 (–)
│ │ ├─📄건설중인 자산 증가 (–)
│ │ └─📄토지·설비·기계장치 구입 (–)
│ │
│ └─📦보조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항목
│ ├─📄사용권자산(리스자산)의 취득 (–)
│ ├─📄투자부동산의 취득 (–)
│ ├─📄자산 매각으로 인한 유입 (+)
│ └─📄기타 장기자산의 취득 (–)|
구분 6761_1edeb2-c4> |
대표 산업 6761_74de74-98> |
해석 포인트 6761_5a5412-28> |
|---|---|---|
|
매출액 기준 CAPEX 비율 6761_6af52e-f4> |
성장 기업 (IT·플랫폼·제조설비 등) 6761_618929-57> |
설비투자 확대와 성장성 평가 중심. 매출 증가에 비례한 CAPEX는 긍정적 신호. 6761_e94a5a-ad> |
|
영업이익 기준 CAPEX 비율 6761_5c4895-16> |
안정 기업 (은행·통신·인프라 등) 6761_75edb6-da> |
영업활동이 안정된 기업의 투자 효율성 판단. 과도한 CAPEX는 수익성 저하 가능성. 6761_ed1fb7-49> |
|
당기순이익 기준 CAPEX 비율 6761_24cf30-09> |
배당 중심 기업 (금융지주·금융권 등) 6761_693407-78> |
현금흐름과 주주환원 여력 파악에 중요. 순이익 대비 CAPEX가 낮을수록 배당 여력 높음. 6761_19df0c-f6> |
🧮 CAPEX 계산기 (감가상각비 + 공시 CAPEX 비교)
💾 공시 CAPEX (선택 입력)
📊 CAPEX 비율 분석 (공시 & 직접 계산 적용 항목)
🧾 순고정자산 기준 CAPEX
🧾 총고정자산 기준 CAPEX
🧾 총고정자산 CAPEX: 0
순고정자산= 총고정자산 − 감가상각누계액으로 차감해 산출되기 때문에 동일하게 감가상각비를 입력하여 계산합니다.
│
└─ 🗂️재무활동 현금흐름: 감가상각비를 이용한 CAPEX|
구분 6761_e27731-37> |
대표 산업 6761_3afd7b-3e> |
해석 포인트 6761_33b6f7-85> |
|---|---|---|
|
매출액 기준 CAPEX 비율 6761_e6e987-8d> |
성장 기업 (IT·플랫폼·제조설비 등) 6761_e1d86d-65> |
설비투자 확대와 성장성 평가 중심. 매출 증가에 비례한 CAPEX는 긍정적 신호. 6761_a69103-b9> |
|
영업이익 기준 CAPEX 비율 6761_96dc25-68> |
안정 기업 (은행·통신·인프라 등) 6761_475131-f3> |
영업활동이 안정된 기업의 투자 효율성 판단. 과도한 CAPEX는 수익성 저하 가능성. 6761_8a8b4f-69> |
|
당기순이익 기준 CAPEX 비율 6761_783b71-4c> |
배당 중심 기업 (금융지주·금융권 등) 6761_e7bcf5-32> |
현금흐름과 주주환원 여력 파악에 중요. 순이익 대비 CAPEX가 낮을수록 배당 여력 높음. 6761_c5d540-cb> |
Ⅰ.금융 계산기
│ ├─ 배당수익률 계산기
│ ├─ 단리·복리 계산기
│ ├─ 현재가치·미래가치 계산기
│ ├─ CAGR(연평균성장률) 계산기
│ ├─ CAPEX 계산기
│ ├─ CET1 비율 계산기
│ └─ CET1·Tier1·BIS 비율 계산기└─Ⅱ.금융 계산기 | ETC
├─ ROI 계산기
├─ ROAS 계산기
├─ 산술·기하평균 계산기
├─ 퍼센트 계산기
├─ 증감율 계산기
└─ 부가가치세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