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T1·Tier1·BIS 비율 계산기: 자본적정성비율 종합 계산기
BIS 비율 계산기는 국제결제은행(BIS,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이 정한 바젤Ⅲ 규제 기준에 따라,
은행의 자본 건전성과 손실흡수 능력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본적정성비율 계산 도구입니다.
CET1 비율은 은행이 보유한 가장 순수한 자본(보통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 이 위험가중자산 대비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핵심 안정성 지표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손실 흡수 능력이 크고, 재무 구조가 견실함을 의미합니다.
Tier1 비율은 CET1 자본에 신종자본증권(AT1) 을 더한 값으로, 은행이 위기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핵심 자본력을 나타냅니다.
감독 기준상 CET1보다 완화된 범위의 자본을 포함하지만, 여전히 안정성 판단의 중심 지표입니다.
BIS 비율은 Tier1 자본에 보완자본(Tier2) 을 더한 총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은행의 전체 자본적정성을 종합적으로 보여줍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제시한 가장 상위의 감독 기준으로, 은행의 건전성과 신용도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 CET1·Tier1·BIS 비율 계산기 활용
사용자가 입력한 자본 항목(보통주, 자본잉여금, 보완자본 등)과 위험가중자산(RWA)을 바탕으로
각 비율을 동시에 계산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CET1 비율: 순수 보통주자본 / 위험가중자산
 - Tier1 비율: (CET1 + AT1) / 위험가중자산
 - BIS 비율: (Tier1 + Tier2) / 위험가중자산
 
이 계산기를 활용하면 단일 수치뿐 아니라, 각 자본 단계별 구성 비율의 차이와 변동 원인을 함께 파악할 수 있어
은행의 자본적정성(Capital Adequacy) 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 BIS 비율 계산기
(CET1 비율 + Tier1 비율 + BIS 비율 계산)
  Tier1 비율: 0.000 %
BIS 비율: 0.000 %
📌 CET1 비율 계산식
                CET1 (보통주자본)
CET1 Ratio =   ────────────────────── × 100
                 위험가중자산(RWA)| 
 구분 6388_1bcbc0-0e> | 
 기준 비율 6388_a4a69d-a0> | 
 설명 6388_2393b8-88> | 
|---|---|---|
| 
 최소 규제 기준 6388_371dc8-ff> | 
 🟠4.5% 이상 6388_687877-6b> | 
 바젤Ⅲ 협약에서 정한 은행의 최소 의무 비율 6388_75bef9-c6> | 
| 
 자본 보전 완충자본 6388_eafab1-f8> | 
 🟡+2.5%p 6388_cc0267-bc> | 
 경기 변동이나 위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추가 자본 6388_bc7c3e-2b> | 
| 
 시스템적 중요 은행 추가 자본 6388_ab9eeb-60> | 
 🟡+1.0~3.5%p 6388_768319-6e> | 
 대형은행 등 금융시스템에 영향이 큰 은행에 적용 6388_b86d19-5e> | 
| 
 권장 또는 양호 수준 6388_1dfa76-50> | 
 🟢8.0~10.5% 이상 6388_74f040-50> | 
 (4.5% + 2.5% + 중요은행 추가자본) 6388_ea4f95-c3> | 

![CET1·Tier1·BIS 비율 계산기: 자본적정성비율 종합 계산기 2 Tier1 비율 계산 공식[영어]](https://cdn.ivarfinance.com/storage/2025/10/Tier1-비율-계산-공식영어.png)
| 
 구분 6388_d3f32c-6a> | 
 비율 수준 6388_7d3e56-6d> | 
 해석 6388_43d867-c1> | 
 투자자 관점 6388_3858a4-b0> | 
|---|---|---|---|
| 
 6% 이하 6388_91dad7-24> | 
 규제 기준에 근접🟠 6388_71d734-69> | 
 최소 요건만 충족,   | 
 단기적 리스크 존재,   | 
| 
 7~10% 6388_27eb7e-c5> | 
 평균 수준🟡 6388_5080b4-59> | 
 Basel III 기준 안정권,   | 
 일반적 안정성, 중립적 평가 6388_4ad558-1e> | 
| 
 10~15% 6388_964ef2-ba> | 
 우수 수준🟢 6388_99537a-92> | 
 위기 대응력 높고 자본 확충력 양호 6388_43e644-e9> | 
 신용도 높고 배당 지속 가능성 높음 6388_4bd315-18> | 
| 
 15% 이상 6388_32039c-29> | 
 매우 안정적🟢 6388_3d9cd4-d0> | 
 과잉자본 상태,   | 
 장기 투자 관점에서 긍정적,   | 
📌 계산식
         총자본(Tier1 + Tier2)
BIS Ratio = ────────────────────── × 100
          위험가중자산(RWA)
| 
 BIS 비율 수준 6388_db7a3d-48> | 
 해석 6388_24cb0a-8f> | 
 안정성 평가 6388_acfb96-fe> | 
|---|---|---|
| 
 8% 이하🔴 6388_f4af10-52> | 
 규제 기준 근접, 자본 확충 필요 6388_912e39-59> | 
 취약 – 단기 리스크 존재 6388_d74824-b1> | 
| 
 8~10%🟡 6388_cb7265-7b> | 
 최소 요건 충족, 완충자본 부족 6388_ed3e38-08> | 
 중립 – 안정성 보통 6388_2f1e4e-4d> | 
| 
 10~13%🟢 6388_5931c4-d3> | 
 Basel III 실질 기준 충족 6388_616a9b-b3> | 
 안정 – 위기 대응 가능 6388_d0549a-ec> | 
| 
 13% 이상🟢 6388_7cc52d-08> | 
 여유 자본, 시장 신뢰도 높음 6388_1af3bd-f2> | 
 우수 – 고신용·배당 지속 가능 6388_f127a4-e1> | 
| 
 구분 6388_69257a-14> | 
 일반 상업은행 6388_8eb4cd-4d> | 
 글로벌 대형은행(G-SIBs) 6388_2ad0ad-17> | 
|---|---|---|
| 
 CET1 비율 6388_a26919-db> | 
 11~13%🟢 6388_77e355-cc> | 
 12~15% 6388_933d0f-77> | 
| 
 Tier1 비율 6388_47c5db-89> | 
 12~15%🟢 6388_dd017e-a2> | 
 13~17% 6388_872007-c4> | 
| 
 BIS(총자본비율) 6388_2e65d7-3b> | 
 14~18%🟢 6388_716b0c-cc> | 
 15~20% 6388_d0972c-46> | 
├─Ⅰ.금융 계산기
│  ├─ 배당수익률 계산기
│  ├─ 단리·복리 계산기
│  ├─ 현재가치·미래가치 계산기
│  ├─ CET1 비율 계산기
│  ├─ CET1·Tier1·BIS 비율 계산기
│  ├─ CAGR(연평균성장률) 계산기
│  ├─ CAGR(연평균성장률) 계산기 ├─Ⅱ.금융 계산기 | ETC  
│  ├─ ROI 계산기
│  ├─ ROAS 계산기
│  ├─ 산술·기하평균 계산기
│  ├─ 퍼센트 계산기
│  ├─ 증감율 계산기
│  └─ 부가가치세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