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ITDA 계산기 & EBITDA 마진율 계산기
EBITDA 계산기는 기업의 순이익에 이자비용, 법인세, 감가상각비를 더해 실제 영업 활동에서 발생한 현금 창출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구입니다.
재무제표나 금융 사이트에서 EBITDA 항목이 별도로 제공되지 않는 기업도 있어, 직접 값을 계산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계산기는 필요한 항목만 입력하면 즉시 EBITDA를 산출해 정확한 분석을 도와줍니다.
🧮 EBITDA 계산기 & EBITDA 마진율 계산기 활용
재무제표나 금융 사이트에서 EBITDA 값을 별도로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필요한 항목만 입력하면 즉시 EBITDA를 산출할 수 있는 이 계산기는 기업 분석 과정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또한 EBITDA를 매출액으로 나눈 EBITDA 마진율도 함께 계산되어 기업의 현금 기반 수익성이 어느 정도인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EBITDA 마진율은 산업 간 비교나 영업 효율성 평가에 널리 사용하는 핵심 지표로, 단순 순이익률보다 회계상의 왜곡이 적어 실제 경영 성과를 더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기 대비 당기 EBITDA 변화율을 계산하는 EBITDA 증가율(YoY) 계산기 기능을 별도로 제공하여 성장 추세도 함께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전년 대비 현금창출력이 얼마나 확대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며, 매출 증가율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질적 성장’까지 측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세 기능을 모두 통합하여 기업의 수익성·성장성을 균형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이 계산기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재무비율에서 EBITDA 마진율은 기업의 수익성을, EBITDA 증가율은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한국 회계 기준에서는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의 상각을 모두 ‘감가상각비’로 포함하므로, Depreciation 또는 Amortization 중 하나만 입력해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EBITDA 계산기 & EBITDA 마진율 계산기
(유형자산)
(무형자산)
📈EBITDA 마진율: 0%
EBITDA = EBIT+감가상각비 (Depreciation + Amortization)
EBITDA = 순이익+이자비용+법인세+감가상각비
EBIT = 영업이익 + 이자비용 + 법인세비용
🧮 EBITDA 마진증가율 계산기[%] (12년)
[연도별 EBITDA 증가율 수치를 입력하세요]
※ 모든 결과 값은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됩니다.
📌 산업별 EBITDA 마진율
※ 산업별 EBITDA 마진율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며, 동종 업계와 비교해 판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기업의 사업 구조·성장 단계·원가 구조에 따라 편차가 매우 클 수 있습니다.
|
⚙️산업 분야 7064_5d30e4-6e> |
📈평균 범위 7064_6acf0b-33> |
🟩우수 기준 7064_bb213b-d9> |
특징 7064_6f07ff-1c> |
|---|---|---|---|
|
제조·IT 하드웨어 (반도체·장비·기계) 7064_4eb087-13> |
10~20% 7064_791504-40> |
20% 이상 7064_653cd0-ff> |
자본집약적 구조, 업황 변동에 따라 마진 변동 폭이 큼 7064_494dee-47> |
|
플랫폼·SaaS·소프트웨어 7064_473bf3-74> |
20~30% 7064_fa32bf-93> |
30~40% 이상 7064_a4c551-e9> |
고정비 비중 낮고 확장성 높아 마진율이 전체 산업 중 가장 강함 7064_f8d2d0-ca> |
|
유통·리테일·전자상거래 7064_1360b2-46> |
5~10% 7064_7fcb69-b1> |
10% 이상 7064_26d486-68> |
본질적으로 마진이 박한 산업 7064_520434-20> |
|
통신사 7064_b769be-18> |
30~40% 7064_852c9f-a3> |
40% 이상 7064_c876ba-25> |
높은 고정비(CAPEX) 구조지만 현금창출력 안정적 7064_807200-07> |
|
음식료·생활소비재 7064_14611f-a2> |
10~20% 7064_926c33-b2> |
20% 이상 7064_c44844-8e> |
브랜드 파워가 강한 기업만 높은 마진 유지 가능 7064_b3ba3a-29> |
|
항공·운송·레저 7064_af7306-53> |
5~15% 7064_e4e258-f6> |
15% 이상 7064_0f05b4-75> |
연료비·운영비 등 변동비 영향이 매우 큼 7064_958bf6-79> |
|
은행·보험 7064_b267d4-93> |
해당 없음 7064_d77e35-70> |
분석 부적합 7064_5c5420-08> |
금융업은 EBITDA 지표를 사용하지 않음 7064_c65529-fe> |
├─Ⅰ.수익성 비율
│ ├─ 매출총이익률 계산기
│ ├─ 영업이익률 계산기
│ ├─ 순이익률 계산기
│ ├─ EBIT 마진율 계산기
│ ├─ EBITDA 마진율 계산기
│ ├─ ROE(자기자본이익률) 계산기
│ ├─ ROA(총자산이익률) 계산기
│ ├─ ROIC(투하자본수익률)계산기
│ └─ 세전계속사업이익률 계산기├─Ⅱ.안정성 비율
│ ├─ 현금비율 계산기[유동성 비율]
│ ├─ 유동비율 계산기[유동성 비율]
│ ├─ 당좌비율 계산기[유동성 비율]
│ ├─ 부채비율 계산기[장기 안정성 지표]
│ ├─ 유보율 계산기
│ ├─ 차입금비율 계산기
│ ├─ 이자보상배율 계산기
│ ├─ 자기자본비율 계산기
│ ├─ 자본잠식률 계산기
│ └─ [보조 안정성 지표]
│ └─ 순차입금비율 계산기├─ Ⅲ. 성장성 비율
│ ├─ 매출액증가율 계산기
│ ├─ 영업이익증가율 계산기
│ ├─ 순이익증가율 계산기
│ ├─ EPS 증가율 계산기
│ └─ [추가 성장성 지표]
│ ├─ 자기자본증가율 계산기
│ └─ 판관비증가율 계산기├─Ⅳ.활동성 비율
│ ├─ 총자산회전율 계산기
│ ├─ 자기자본회전율 계산기
│ ├─ 운전자본회전율 계산기
│ ├─ 재고자산회전율 계산기
│ └─ 매출채권회전율 계산기├─Ⅴ.시장가치 비율·평가모델
│ ├─ PBR 계산기
│ ├─ BPS 계산기
│ ├─ PER 계산기
│ ├─ EPS 계산기
│ ├─ PCR 계산기
│ ├─ PSR 계산기
│ ├─ PEGR 계산기
│ └─ [평가모델]
│ ├─ CAPM 계산기
│ ├─ RIM 계산기
│ └─ 베타값 계산기 Ⅵ.금융 계산기 | ETC
├─ 배당수익률 계산기
├─ 단리·복리 계산기
├─ 현재가치·미래가치 계산기
├─ CAPEX 계산기
├─ CET1 비율 계산기
├─ CET1·Tier1·BIS 비율 계산기
├─ CAGR(연평균성장률) 계산기
├─ ROI 계산기(ETC)
├─ ROAS 계산기(ETC)
├─ 산술·기하평균 계산기(ETC)
├─ 퍼센트 계산기(ETC)
├─ 증감율 계산기(ETC)
└─ 부가가치세 계산기(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