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 계산기: 기업의 저평가·고평가 판단 지표 (1↓)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B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자산 대비 주가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PBR = 주가 ÷ BPS
    이 수치를 통해 기업이 저평가되어 있는지 또는 고평가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BR이 1이면, 주가는 순자산과 동일한 수준이고,
    PBR이 0.5면 시장에서 자산 가치보다 낮게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PBR 계산기 활용

PBR 계산기는 주가와 BPS(주당순자산)를 입력하면, 해당 종목의 PBR 수치를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결과에 따라 ‘매우 저평가’, ‘저평가’, ‘적정~고평가’, ‘고평가’로 나누어 간단한 투자 판단 참고자료도 함께 제공됩니다.

  • 예시
    주가가 20,000원이고 BPS가 10,000원이라면 → PBR = 2.0 → 🔴 고평가

평균 PBR 계산기를 활용해 평균 PBR을 산출할 수도 있습니다.

PBR 계산기 계산을 위한 참고 이미지
📌 PBR 계산기 (주가 / BPS)
주가:
BPS (주당순자산):
📌 평균 PBR 계산기 (복수 종목)
PBR 값들 (쉼표로 구분):

PBR 범위

판단

의미

0.0 ~ 0.5

🟢 매우 저평가

시장에 저평가된 종목일 가능성 있음

0.6 ~ 1.0

🟡 저평가

기업가치보다 낮게 평가된 구간

1.1 ~ 2.0

🟠 적정~고평가

적정 수준이나 주의가 필요한 구간

2.0 초과

🔴 고평가

고평가 상태, 투자 신중히 고려 필요

위 표의 기준은 보수적일 수 있으며, 주관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참고하여 투자 판단 시 업종 평균 PBR, 동종 업계 기업들의 비교, 그리고 자산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자산 가치가 중심인 업종(예: 금융, 제조업 등)은 PBR이 유용한 반면, 무형자산이 많은 기술·플랫폼 기업의 경우 낮은 PBR이 반드시 저평가를 의미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 수치에만 의존하기보다는, 기업의 성장성·수익성·시장 상황을 함께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재무 계산기
  • 1. 수익성 비율
    • 매출총이익률 계산기
    • 영업이익률 계산기
    • 순이익률 계산기
    • ROE(자기자본이익률) 계산기
    • ROA(총자산이익률) 계산기
    • ROIC 계산기
    • EBITDA 마진율 계산기
    • 세전계속사업이익률 계산기
  • 2. 안정성 비율
    • 유동비율 계산기
    • 당좌비율 계산기
    • 부채비율 계산기
    • 유보율 계산기
    • 순차입금비율 계산기
    • 이자보상배율 계산기
    • 자기자본비율 계산기
    • 자본잠식률 계산기
  • 3. 성장성 비율
    • 매출액증가율 계산기
    • 영업이익증가율 계산기
    • EPS 증가율 계산기
  • 4. 활동성 비율
    • 총자산회전율 계산기
    • 총부채회전율 계산기
    • 총자본회전율 계산기
    • 순운전자본회전율 계산기
    • 재고자산회전율 계산기
    • 매출채권회전율 계산기
  • 5. 시장가치 비율·평가모델
    • PBR 계산기
    • BPS 계산기
    • PER 계산기
    • EPS 계산기
    • PCR 계산기
    • PSR 계산기
    • PEGR 계산기
    • CAPM 계산기
    • RIM 계산기
    • 베타값 계산기
  • 6. 금융 계산기 (ETC)
    • 단리·복리 계산기
    • 현재가치·미래가치 계산기
동전 위에 성장하는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