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균성장률(CAGR) 개념과 계산 방법 | CAGR 기준(5~15%)

CAGR 특히 장기 추세를 한눈에 파악하고 여러 대상 간 비교할 때 유용한 지표입니다.

투자나 기업 분석에서 “얼마나 성장했는가?”를 묻는 질문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시작값과 마지막 값을 비교하는 것만으로는 그 사이의 연도별 성장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지표가 바로 연평균성장률(CAGR)입니다.

CAGR은 특정 기간 동안의 성장률을 매년 일정한 비율로 성장한 것처럼 환산한 값입니다. CAGR을 한국어로 직역할 경우 ‘연평균 복리 성장률’로 복리 개념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는 단순한 평균(산술평균)이 아니라, 기하평균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처음 값과 마지막 값 만으로 실제 연도별 변동성을 보정해 일관된 성장률을 보여줍니다.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요약

· 투자·기업 분석에서 “얼마나 성장했는가?”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
· 시작값과 마지막 값만으로 연도별 변동성을 보정한 성장률
· 복리 개념 기반의 계산 방식
· 산술평균이 아닌 기하 평균을 사용하여 정확도 높음
· 장기 추세 파악, 여러 기업·상품 간 비교 분석에 유용

✅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이란?

📌 산술평균 (Arithmetic Mean)

  • 여러 수치를 단순히 더한 뒤 개수로 나눈 값
  • 주로 변동이 적은 값을 다룰 때 사용
  • 일상적인 평균, 성적 평균, 일반적인 데이터 분석에 활용

예시
A 기업의 EPS가 3년 동안 각각 10%, 20%, 30% 성장했다고 가정하면
→ 산술평균 = (10 + 20 + 30) ÷ 3 = 20%


📌 기하평균 (Geometric Mean)

  • 일정한 복리로 성장한 것처럼 계산하는 평균
  • 성장률, 수익률, CAGR시간 누적되는 변화에 적합
  • 값의 곱을 이용해 루트를 씌우므로 극단값의 영향을 덜 받음

예시
같은 데이터에서:
→ 기하평균 = [(1.10 × 1.20 × 1.30)]^(1/3) – 1 = 약 19.1%

구분

산술평균

기하평균

계산 방식

단순 합 ÷ 개수

곱한 후 n제곱근 – 1

사용 분야

정적인 데이터, 단기 분석

복리 개념, 성장률, 수익률, 장기 추세 분석

특징

극단값에 민감

중간값 중심, 변동성 보정됨

✅ 연평균성장률(CAGR) 계산 방법

한국어영어
연평균성장률(CAGR) 계산 공식
연평균성장률(CAGR) 계산 공식(영어)

📊 예시 (Example)

  • 2019년 매출 : 100억
  • 2024년 매출 : 200억
  • 기간 (Period): 5년
연평균성장률(CAGR) 예시

✅ 연평균성장률(CAGR)의 기준

CAGR은 절대적인 “좋고 나쁨” 기준이 정해진 지표는 아니며, 산업군, 시장 환경, 기업 규모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투자 및 재무 분석 관점에서의 참고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IT/헬스케어/소비재 성장주: 15% 이상도 흔함
  • 전통 제조업/공기업: 3~7%도 양호한 수준
  • 초기 스타트업: 30% 이상도 가능하지만, 변동성 큼
  • 거시적 상황 고려: 저금리·고성장기 vs 고금리·침체기 해석 달라짐

연평균성장률(CAGR) 수치

해석

0% 이하

성장 없음 또는 감소 — 위험 신호일 수 있음

0% ~ 5%

낮은 성장 — 안정적이거나 성숙한 산업에 많음

5% ~ 10%

평균 수준 — 대부분의 산업에서 양호한 편

10% ~ 20%

양호한 성장 — 성장 기업 또는 시장보다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

20% 초과

고성장 — 주의 깊게 볼 필요 있음 (기회이자 리스크가 클 수 있음)

🔲 주식 섹터로 나눈 CAGR

각 섹터별 일반적인 연평균성장률 구간과 해당 구간 별 특성을 요약한 표입니다.

섹터별 성장률은 시장 상황과 기업별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높은 성장률이 항상 좋은 투자 신호는 아니며, 리스크도 함께 고려하여 균형 잡힌 분석을 필요로 하는 점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Risk Disclaimer
본 콘텐츠는 교육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입니다. 또한 주가 전망 및 주가 분석 등의 콘텐츠가 금융 상품에 대한 매수·매도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 목적인 점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투자 결정은 사용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수익률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영업이익증가율이란

    영업이익증가율은 특정 기간 동안 기업의 영업이익이 얼마나 증가 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재무비율 중 성장성 비율에 속하며, 기업의…

  • 경제적 해자 개념: 워렌 버핏이 강조하는 기업의 경쟁 우위 방벽 5가지 요소

    해자는 고대로부터 적군이 성벽에 쉽게 접근하거나 공격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어 시설의 일종으로 인공적으로 땅을 파서 만든 못이나 도랑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2   =